대중교통비 부담 커지며
K-패스 이용 급증

“대중교통 요금이 또 오른다고? 이제는 K-패스라도 써야겠다”, “이렇게 오를 줄 알았으면 진작 신청할걸”
지하철과 버스 요금이 줄줄이 인상될 예정인 가운데, 교통비 부담을 덜기 위한 K-패스 가입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도입된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일정 비율의 요금을 환급해 주는 제도로, 최근 대중교통 요금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가입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K-패스 이용자는 출시 10개월 만에 3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5월 도입된 이후 불과 3개월 만에 100만 명을 돌파했고, 8월에는 200만 명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도 매주 약 4만 명이 신규 가입하면서 이용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 혜택을 제공한다.
지난해 이용자들은 평균적으로 월 1만 8000원의 교통비를 환급받았으며, 청년층과 저소득층은 각각 2만 원, 3만 7000원가량의 혜택을 받았다.

K-패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지자체들도 자체적으로 추가 혜택을 도입하는 추세다.
현재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 부산의 ‘동백패스’ 등 전국 6개 광역지자체에서 맞춤형 K-패스를 시행 중이다. 울산도 올해 안에 K-패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특히 K-패스 혜택을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 예산을 투입해 추가 환급률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 거주자는 기본 K-패스 혜택 외에도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수도권 교통비 인상, K-패스 수요 더 늘어날 듯

지하철과 버스 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K-패스 이용자 증가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버스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이며, 수도권 지하철 요금도 올해 3월 인상될 예정이었으나 한두 달 연기됐다.
업계 관계자는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될 경우 K-패스를 찾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며 “정부와 지자체가 K-패스 확대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K-패스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앱과 누리집을 개편하고, 카드 미발급자를 위한 발급 절차를 간소화할 예정이다.

또한, 다자녀 가구에 대한 추가 지원을 도입해 두 자녀 가구에는 30%, 세 자녀 이상 가구에는 50%까지 환급률을 적용할 계획이다.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현실화되면서 K-패스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앞으로 K-패스의 혜택이 얼마나 더 확대될지 주목된다.
시외버스도 적용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