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이중가격제 도입 추진
소비자 부담 지우기 논란

“치킨값도 올린다고요? 서민들 한숨만 나오네요”, “수수료 부담은 이해되지만 그래도 과한 것 같아요”
배달 치킨을 시켜 먹는 것조차 소비자들에게 부담스러워질 전망이다.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들의 모임인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배달 치킨 가격을 매장보다 비싸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프랜차이즈 치킨, 집에서 시키면 더 비싸다?

서민들의 마지막 위안거리였던 치킨마저 가격이 오를 위기에 처했다.
프랜차이즈협회는 내년 초부터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1,000~2,000원 더 비싸게 책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협회는 배달앱 상생협의체의 새로운 수수료 정책이 시행되는 시점에 맞춰 이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프랜차이즈협회의 한 관계자는 “배달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업종이 치킨”이라며 “메이저 치킨 브랜드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고 이후 피자 등 다른 업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교촌치킨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며 선을 그었으며, bhc치킨은 “협회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했고, BBQ는 “현재 검토 중이지 않다”면서도 “점주들의 배달 수수료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중가격제, 과도한 가격 인상 추진?
그러나 실상을 들여다보면 이중가격제 도입의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내년 초 시행되는 배달앱 상생안에 따르면 매출 상위 35% 점주들이 25,000원 미만 주문 시 현행보다 100원 정도만 더 부담하면 된다.
오히려 중개 수수료는 9.8%에서 7.8%로 낮아지는 상황에서 1,000~2,000원의 가격 인상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러한 가격 인상 움직임은 최근 치킨 업계의 또 다른 논란과 맞물려 소비자들의 불만을 키우고 있다.
bhc치킨의 경우 지난해 5월 일부 순살 메뉴의 닭고기를 국내산에서 가격이 절반 수준인 브라질산으로 바꾸고도 오히려 가격을 올려 논란이 된 바 있다.

현재 치킨집 운영 수익을 보면, 한 마리당 순수익은 1,000~2,000원 수준이다.
치킨 판매가의 50.55%가 원재료비로 들어가고, 포장비용 1,000원, 배달 수수료 10.13%, 라이더 운임 2,000~3,000원, 매장 운영비 10% 등을 제하면 점주의 실질 수익은 그리 크지 않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소비자단체들은 “100원도 안 되는 추가 비용을 이유로 1,000~2,000원의 가격 인상을 추진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의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치킨값마저 오르면 서민 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배달 말고 포장해 와서 먹어
그렇지 무조건 포장!!!
전국민이 한달간 치킨을 먹지 맙시다.!!!
일단 배민이 문제임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