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대신 선택한 우회 전략
“중국 우선” 외친 토요타의 새로운 노선
하이랜더·시에나, 왜 EREV인가

토요타가 전기차 일변도의 흐름에서 한발 물러섰다. 올해 열린 ‘GAC 토요타 테크놀로지 데이’에서, 토요타는 차세대 하이랜더와 시에나 모델에 ‘EREV(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 파워트레인을 탑재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들 차량은 2026년 하이랜더, 2027년 시에나부터 중국 시장에 우선 출시되며 글로벌 출시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토요타, 전기차 대신 EREV로 ‘우회 돌파’
이번 발표는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략의 연장선상이다. 완전 전기차로의 급격한 전환 대신, 보다 유연하고 현실적인 전동화 노선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차세대 하이랜더와 시에나는 ‘EREV 시스템’을 탑재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주행은 전기모터로 하되, 배터리 소진 시 내연기관을 발전기처럼 사용해 전기를 공급한다.
배터리 전기차의 한계인 충전 인프라 문제와 주행 거리 불안을 동시에 보완할 수 있는 방식이다.
토요타는 이들 모델에 최신 6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강화된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4.0’ 기술도 함께 적용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를 통해 연비 개선은 물론, 안전성과 주행 성능까지 전반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하이랜더의 경우, 중국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디자인 개편과 실내 인테리어 전면 개선이 함께 진행된다. 플랫폼은 기존 TNGA-K 구조에서 업그레이드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시장 공략 본격화… 북미는 아직 미정
EREV 전략은 중국 내 협력사인 GAC 토요타 및 FAW 토요타와의 협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중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이미 선보였던 하이랜더는, 차세대 모델에서 한층 강화된 전동화 모델로 진화한다.
하이랜더의 중국형 형제 모델인 ‘크라운 클루거’ 역시 동일한 방향성을 따르고 있으며 북미에서 판매되는 그랜드 하이랜더는 현재까지 중국에는 미출시된 상태다.

북미 시장에서 EREV 모델이 출시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토요타 북미법인은 “향후 제품에 대한 언급은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 켄터키와 인디애나 공장에서 3열 전기 SUV 생산 계획을 밝힌 바 있어, 유사한 형태의 모델 도입 가능성은 열려 있다.
미국형 하이랜더의 경우 2026년 완전 전기차로 데뷔할 가능성도 보도된 바 있으나, 이번 EREV 전환 발표는 토요타의 신중한 전략 변화를 암시하는 대목이다.
시에나도 EREV 탑재… 북미 출시는 2027년 유력
시에나 역시 하이랜더와 마찬가지로 GAC 토요타에서 조립되며 FAW 토요타는 유사 모델인 ‘그랜비아’를 판매 중이다.

이번 발표에 따라 시에나는 중국에서 2027년부터 EREV 파워트레인 탑재 모델로 전환된다. 북미 버전도 같은 해에 디자인과 기술을 대폭 손질한 모델로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차세대 시에나 역시 TNGA-K 플랫폼 기반이며 전기 모터 기반의 주행과 내연기관 발전기 기능을 조합한 EREV 시스템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토요타는 이와 함께 6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진행 상황과 센서 성능과 컴퓨팅 능력을 향상시킨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4.0’의 업그레이드 계획도 밝혔다.
‘국가 맞춤형 전동화’로 방향 튼 토요타
이번 발표는 단순한 모델 업데이트를 넘어, 토요타의 글로벌 전동화 전략이 ‘하나의 해답’이 아닌 ‘다양한 해법’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토요타는 국가별로 HEV, PHEV, EREV, BEV 등 다양한 구동 방식을 병행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다.
하이랜더와 시에나의 EREV 전환은 이러한 전략의 대표적 사례로, 완전한 전기차 전환을 망설이는 소비자층을 겨냥한 ‘현실적 해답’이자 인프라 여건에 맞춘 ‘맞춤형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혼다가 이런 시스템 아닌가
중국부품 탑제한 차는 No thank you,
하이브리드는 수리비너무 비싸다
연비는?
우회하면 손해일텐데^^스마트폰때도 피쳐폰이 아무리 디자인변경 등 시도했어도 결국은 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