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픽업트럭 PV5, 혹한기 테스트 중 포착

기아가 상용 전기차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기존에 알려진 승합차(밴) 모델뿐만 아니라, 픽업트럭 형태의 PV5까지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유럽에서 혹한기 테스트 중인 PV5 픽업트럭 프로토타입(시험 차량)이 포착되면서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공개된 스파이샷에 따르면, PV5 픽업트럭의 전면부 디자인은 기존 밴 모델과 거의 동일하다.
작은 보닛, 기존과 같은 사이드 미러, A필러 뒤쪽의 작은 코너 윈도우까지 유지되었지만, 후면부는 완전히 개방된 적재 공간으로 설계됐다. 이를 통해 일반 밴 모델보다 화물 적재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실용성 및 확장성 겸비한 PV5 픽업트럭
픽업트럭 형태의 PV5는 운전석 뒤쪽에 보호 격벽을 두고 있으며 적재 공간은 최소 1.5미터 이상으로 예상된다. 이는 일반적인 소형 트럭과 유사한 크기로, 물류 운송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PV5 픽업트럭은 현대차 포터 EV와 직접적인 경쟁 구도를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기아가 모듈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활용도를 갖춘 차량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봉고3 EV의 후속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아는 후면부를 모듈화하여 냉동 탑차, 카고 트럭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전동화 시대, 기아 PV5의 역할은?
최근 전기차 시장에서는 상용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픽업트럭은 화물 운송이 필수적인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델이다.
PV5 픽업트럭이 전기차 특유의 저렴한 유지비와 친환경성을 앞세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PV5 트럭이 기존 봉고3 EV의 한계를 보완하고 주행거리와 충전 속도를 대폭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아가 전동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가운데, PV5 픽업트럭의 출시는 기아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기아는 PV5 전 모델을 전기차 전용 섀시 플랫폼(e-CCPM)으로 제작할 계획이다. 배터리 용량, 출력, 최대 주행거리 등 핵심 성능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기본 모델이 전륜구동 단일 모터 방식으로 출시되고 상위 모델은 후륜에도 추가 모터를 장착해 사륜구동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포터 봉고가 좋지 저런건 못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