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명차라더니 “한국에선 안 된다”…소비자들 외면한 이유는

야심 찬 데뷔, 그러나 비참한 현실
지프 어벤저 월간 판매량 ‘0대’ 기록
지프 어벤저 국내 판매량
어벤저/출처-지프

지프의 첫 순수 전기 SUV ‘어벤저(Avenger)’가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처참한 성적표를 받으며 무너졌다.

스텔란티스코리아가 자신했던 초기 완판 예측은 빗나갔고, 출시 두 달 만에 월간 판매량 0대를 기록했다.

지프 어벤저, ‘눈길도 받지 못한’ 전기차

지난 9월 국내에 출시된 지프 어벤저는 첫 달 16대를 팔며 다소 조심스러운 출발을 했다. 하지만 10월에는 단 3대, 11월에는 0대라는 성적을 기록하며 판매량이 급격히 추락했다.

9월부터 11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22대에 불과했으며, 이마저도 대부분 딜러 시승용 차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프 어벤저 가격
어벤저/출처-지프

문제는 주행거리였다. 어벤저에 장착된 CATL의 54kWh 배터리는 환경부 기준 복합 주행가능거리가 295km에 불과해,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318km)보다 짧다.

500km 이상의 주행거리를 제공하는 기아 EV3가 롱레인지 기준 4415만 원으로 가격 또한 더 저렴한 상황에서, 기본 5290만 원인 어벤저의 가격은 소비자들에게 매력을 어필하지 못했다.

소비자들의 요구는 명확하다. 브랜드 파워보다는 실용성과 경제성을 중시하는 국내 시장에서 어벤저는 뚜렷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채 철저히 외면당했다.

지프 어벤저 가주행거리
어벤저/출처-지프

지프, 국내 판매량 전년 대비 60% 감소

어벤저의 부진은 브랜드 전체의 위기와도 연결된다. 지프의 11월 국내 판매량은 168대로 전년 대비 60%나 감소했다.

대표 모델인 그랜드체로키 4xe PHEV가 76대를 판매하며 체면치레를 했으나, 소형 SUV 분야에서 명성을 쌓아온 지프가 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는 점은 더욱 뼈아프다.

스텔란티스코리아는 지프 외에도 푸조와 마세라티를 관리하고 있지만, 이들 브랜드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푸조의 전기차 e-2008과 e-208은 각각 5대와 1대만 팔렸으며, 마세라티코리아는 겨우 11대의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스텔란티스 그룹 산하 브랜드들이 전반적으로 고전하며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지프 어벤저 국내 판매량
어벤저/출처-지프

근본적 변화로 소비자 신뢰 회복 필요해

지프 어벤저의 실패는 단순히 한 모델의 부진을 넘어, 브랜드의 경쟁력을 다시 점검해야 할 신호탄으로 보인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이제 주행거리, 가격, 경제성이 성공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기존의 브랜드 파워와 개성으로는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 어려운 환경이 된 것이다.

지프 어벤저 가격
어벤저/출처-지프

스텔란티스코리아는 할인 프로모션 등 후속 조치를 통해 반등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지만, 소비자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주행거리와 가격 경쟁력을 갖춘 신모델 출시가 절실하다.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전략적 전환이 없다면 국내 전동화 시장에서 지프의 고전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

  1. 전기차 경쟁력의 기본인 주행거리가 안 나오는데 누가 사겠나. 껍데기만 보고 살 순 없지.

관심 집중 콘텐츠

토요타 2025 크라운 에스테이트 공개

“싼타페 보다 큰” 6천만 원대 하이브리드 SUV, 실내 공간 보고 ‘입이 떡’

더보기
KGM 토레스 하이브리드 출고 혜택

“정말로 ‘금’ 준다”…KGM 파격 혜택에 아빠들 ‘깜짝’

더보기
기아 셀토스 풀체인지 생산 확대

“쏘렌토·카니발과는 또 다르다”…베일에 싸인 기아의 새 얼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