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완전히 달라진다”.. 토요타 새로운 파트너십 소식에 경쟁사들 ‘당황’

중국산 플랫폼에 의존한 신차 전략
AI·자율주행까지 현지 기술 도입
토요타 bZ7 출시
bZ7/출처-토요타

지난 6월 12일, 토요타가 중국 기술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전기차 분야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광고

화웨이와 샤오미, 그리고 현지 합작사인 GAC(광저우기차)와의 협업이 핵심이며 첫 적용 모델은 2026년 1분기 중국에 출시될 플래그십 전기 세단 bZ7이다.

이 같은 변화는 AI,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국 기술 의존도를 크게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bZ7, 중국 기술 집약한 토요타 EV의 전환점

토요타는 화웨이와 샤오미의 핵심 기술을 도입해 전기차 bZ7을 개발 중이다.

토요타 bZ7 출시
bZ7/출처-토요타

화웨이와의 협업을 통해 통합 파워트레인 시스템 외에도, 차량 내 ‘홍멍’ 기반 지능형 콕핏이 구현된다.

이 시스템은 앱 통합과 커넥티비티 기능 강화에 중점을 두며 자율주행 기능을 위한 라이다 센서도 기본으로 장착된다.

샤오미와의 협업은 차량 내 음향 시스템과 좌석 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 사용자 경험 영역에 집중되고 있다. 스크린과 카메라를 활용해 전·후석 간 대화를 지원하는 시스템도 도입될 예정이다.

광고
토요타 bZ7 라이다 센서 장착
bZ7/출처-토요타

대형 플랫폼 기반으로 개발

중국 내 합작사인 ‘GAC 토요타’를 통해 개발 중인 전용 플랫폼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전장 5m 이하 중형차용, 다른 하나는 5.3m 이하 대형차용이며 bZ7은 대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해당 플랫폼은 순수 전기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에 모두 대응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GAC와의 공동개발 플랫폼 외에도, 토요타는 AI 기반 디지털 섀시, 차세대 전자 아키텍처, 그리고 차량 내 음성 비서 기술까지 현지에서 함께 개발 중이다. 이는 GAC의 AI 로드맵인 ‘배려형 집사(2026~2027년)’와 ‘공생 파트너(2028년 이후)’ 개념을 반영한 것이다.

토요타 bZ7 라이다 센서 장착
bZ7/출처-토요타

“중국차 아닌가요?” 엇갈리는 소비자 반응

한편, 토요타는 중국 외 시장에서는 여전히 하이브리드 중심 전략을 유지 중이다.

북미 시장에서는 bZ4X와 수소차 미라이 외에는 전기차 라인업이 제한적이며 한국에서는 렉서스 브랜드를 제외하면 전기차 출시 계획이 확인되지 않았다.

광고
토요타 bZ7 라이다 센서 장착
bZ7/출처-토요타

토요타는 전기차 기술 전환 과정에서 중국 시장에 특화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플랫폼, 파워트레인, 인포테인먼트 등 핵심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향후 출시될 bZ7을 시작으로 이러한 변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략은 토요타가 중국 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용적인 선택으로 해석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1. 딱 일본기업 특유의 밍기적거리면서 망테크를 타고 있다. 살아생전에 현기의 1등을 볼수도 있겠다

관심 집중 콘텐츠

테슬라 로보택시 확장

“미국이 들썩인다”…테슬라가 준비한 진짜 ‘큰 그림’에 ‘화들짝’

더보기
루시드 에어 판매량

“만들면 줄 서서 사간다”… 모델S·타이칸 제치고 판매량 1위 등극한 전기 세단 정체는?

더보기
2026 현대차 캐스퍼 가격

“기본 사양이 이 정도라고?”.. 국산 소형 SUV 대폭 업그레이드, 가격 인상에도 ‘관심 집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