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배터리 ‘양강 체제’ 굳히기
국내 3사 점유율 17%대 추락
美·中 정책 변화, 기회이자 위협

올해 1~4월 한국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점유율이 17%대로 추락했다.
전 세계 배터리 사용량이 급증하는 흐름과는 대조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는 점유율 감소라는 고통을 겪고 있다. 특히 CATL과 BYD 등 중국 기업의 압도적인 성장세는 국내 업계에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중국 업체 독주, 시장 장악 가속화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6월 4일과 9일 각각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전 세계에 등록된 전기차(순수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하이브리드차 포함)에 탑재된 배터리 총 사용량은 약 308.5GWh로, 전년 동기 대비 40.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의 CATL은 전년 대비 42.4% 증가한 117.6GWh를 기록하며 글로벌 점유율 38.1%로 1위 자리를 확고히 했다. BYD는 60.8% 증가한 53.4GWh로 17.3%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2위에 올랐다.
CATL은 중국 로컬 업체뿐 아니라 테슬라, BMW, 메르세데스, 폭스바겐 등 세계 주요 완성차 브랜드에 배터리를 공급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BYD 역시 배터리와 전기차를 함께 생산하는 수직계열화 구조를 기반으로, 강력한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시장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양사의 시장 점유율 합은 55.4%에 이르며,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3사 점유율 4.6%p 하락…17.9%로 추락
반면, 한국 배터리 3사인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시장 점유율은 17.9%로, 전년 동기 대비 4.6%포인트 감소했다.
개별적으로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16.3% 증가한 31.4GWh를 기록해 3위 자리를 유지했고 SK온은 24.1% 증가한 13.4GWh로 4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삼성SDI는 11.2% 감소한 10.3GWh로, 7위에 머물렀다.
삼성SDI의 감소세는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주요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는 글로벌 수요 정체인 ‘전기차 캐즘(Chasm)’과도 관련이 깊다.

수요가 잠시 주춤하는 가운데, 국내 3사는 기술력 향상과 생산 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장 대응력에서는 다소 부족함을 드러냈다.
美·中 규제 변화, 기회와 위협 공존
SNE리서치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등의 인센티브 정책, 그리고 중국산 배터리 및 소재에 대한 규제 강화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내 현지 합작공장 설립과 생산라인 증설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소재 조달의 다변화와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SNE리서치는 또 “유럽의 탄소중립 정책 강화와 중국의 가격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에 맞춘 전략 수립과 현지화, 협력 강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기업들이 마주한 상황은 기회이자 위협이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점유율 하락이 현실화된 지금이야말로 전략 재정비가 절실한 순간이다.
자국민은 바가지 해외에선 디스카운트
그러니까 이모양이꼴이지
BYD 조만간 폭망할꺼 같은데 무슨걱정이냐..
10새 끼들.
중국산 배터리 전기차 세계 점유율 1위.. 한국은 전고체나 나트륨배터리도 늦어지고 있고.. 이쪽에 주식투자는 망했다.
세계2위 경제대국이 밀어주고 있는데 경쟁이 되겠냐. 그 와중에 25만원 나눠 줄 생각이나 하고 있고. 밥 한끼 사주면 일자리 문제가 해결 되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