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테슬라’, BYD
현대차와 기아를 겨냥한 가격 전략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이 이렇게까지 할 줄은 몰랐다.”
중국 BYD(비야디)가 파격적인 가격을 앞세워 국내 전기차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소형 SUV 모델 ‘아토3’를 출시하며 전 세계 최저가를 책정했다. 기본 모델이 3150만 원, 보조금 혜택 적용 시 2000만 원 후반대에 구매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4000만 원대, 동남아에서도 3000만 원 중반에 판매되는 이 모델의 가격을 이렇게까지 낮춘 건 처음이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한국 시장에서 BYD의 본격적인 도전장을 내민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BYD는 ‘중국의 테슬라’로 불리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주도해 왔다.
이번 아토3 출시는 단순한 가격 경쟁이 아니라 한국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을 목표로 한다.
BYD의 저가 전략은 현대차와 기아, 그리고 국내 중견 3사(한국지엠,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모두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아토3는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2740만 원)과 기아 EV3(3995만 원) 사이에서 강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KG모빌리티의 대표 전기 SUV ‘토레스 EVX’는 이미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그런데 같은 LFP 배터리를 탑재한 아토3가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되면서 더 큰 압박을 받게 됐다.
업계에서는 “소비자들이 같은 배터리 기술을 제공받으면서도 더 저렴한 BYD 차량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BYD의 확장 전략, 가격만이 아니다

BYD는 단순히 가격 경쟁에 머물지 않는다. 국내 전시장과 AS망을 신속히 구축하며 품질과 사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아토3 외에도 중형 전기 세단 ‘씰’, 중형 SUV ‘씨라이언7’ 등을 올해 하반기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대덕대 자동차학과 이호근 교수는 “BYD가 가격과 품질 모두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현대차와 기아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특히 중견 3사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BYD의 등장은 한국 전기차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다.

현대차와 기아는 브랜드파워와 기존 모델의 강점을 앞세워 맞설 여력이 있지만, 중견 3사는 더 큰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
BYD의 성공 여부는 올해 한국 시장에서 판매 목표인 1만 대 달성 여부에 달려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BYD의 행보와 이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대응이 시장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차~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