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국내 공개하는 ‘BYD 아토3’
예상 가격 4천만 원대 전망…가성비 의문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내년 1월 국내 전시장 개장과 함께, 주력 모델 ‘아토(ATTO) 3’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때 ‘가성비 끝판왕’으로 불리며 주목받던 이 모델은 예상 가격이 4000만 원대에 이를 것으로 알려지며 소비자들의 실망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BYD의 급부상과 이를 둘러싼 경쟁 구도를 살펴보면, 한국 시장에 미칠 파장은 단순 가격 논란을 넘어설 전망이다.
BYD 아토3, 국내 시장서 ‘가성비’ 논란 직면
BYD코리아는 서울 강서에 첫 전시장을 열고 소형 전기 SUV ‘아토3’를 국내에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다만 가장 큰 관심사인 가격은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
업계에서는 아토3의 가격이 3500만 원에서 4000만 원을 초과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 국내 소비자들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장착한 보급형 전기차라는 점에서 ‘경제성’을 기대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을 전망이다.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2740만 원)이나 기아 EV3(3995만 원)와 비교했을 때, 아토3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은 LFP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주행거리 역시 유럽 WLTP 기준 420km에 그쳐, 까다로운 국내 인증 절차를 통과하면 300km 중후반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더해,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LFP 배터리의 낮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보조금 혜택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가격 경쟁력 면에서 국산 전기차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유럽 배터리 시장, 중국 강세로 국내 기업 점유율↓
BYD의 한국 시장 진출은 유럽 시장에서의 성과와 무관하지 않다. 최근 유럽 배터리 산업을 상징하던 스웨덴 노스볼트의 파산은 유럽의 배터리 공급망 자립이 좌초됐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기업들이 현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BYD는 튀르키예에 전기차 공장을 설립하며 입지를 다지고 있다. 또 다른 중국 배터리 제조사인 CATL은 헝가리와 스페인에 대규모 공장을 세우며 유럽 주요 완성차 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공격적 투자와 현지화 전략은 유럽 시장에서 한국 배터리 제조사들의 점유율을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중국 기업의 강세는 BYD가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데 중요한 자신감이자 전략적 배경이 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시장은 유럽과는 다르다. 국내 소비자들의 기대는 단순히 ‘가격’이 아니라 ‘성능’과 ‘실질적인 혜택’에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BYD가 직면한 도전은 만만치 않다.
국내 시장의 차별화된 경쟁 구도
유럽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중국 기업과의 경쟁을 겪고 있지만, 내수 시장에서는 전기차와 배터리의 성능·가격 균형 등을 맞추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가 선보인 전기차 모델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배터리 원가를 감수하면서도 주행거리와 성능을 충족시키고 있다. 반면 BYD는 이와는 다른 전략을 내세우며 한국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BYD의 국내 진출은 중국 전기차 업계의 자신감과 글로벌 확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 소비자들은 단순히 ‘가성비’라는 명목으로 전기차를 선택하지 않는다.
소비자들에게는 주행거리, 성능, 보조금 혜택 그리고 가격이 고루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결국 BYD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요소를 얼마나 충족시키느냐에 달렸다. 전기차 시장이 급변하는 가운데, 한국은 여전히 치열한 경쟁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BYD의 도전이 국산 전기차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ㅋㅋㅋㅋ 정신 못차리는 짱개 비와이디 필요없다 훨씬 더 좋은 지리의 갤럭시7의 도입을 시급히 시행하여 비와이디 끝장내버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