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은 너무 비싸요”…서울로 몰려드는 외지인들, ‘여기’로 몰렸다

서울 아파트, 지방 거주자 매입 역대 최고
강남보다 중저가 지역으로 몰렸다
서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 출처 : 연합뉴스

“강남은 너무 비싸서 엄두도 못 냈는데, 중저가 지역은 아직 기회가 있는 것 같아요.”

지난해 서울 외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똘똘한 한 채’ 선호와 부동산 시장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맞물리며 외지인들의 관심이 강남이 아닌 중저가 지역으로 집중되고 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율이 21.5%를 기록하며 2006년 관련 조사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 출처 : 연합뉴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10여 년간 17~18%대를 유지하다 2017년 19.9%로 상승했고, 2021년 20%를 넘어선 이후 지난해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이후 아파트값이 조정되면서 서울 부동산을 안전자산으로 인식하는 분위기가 강해진 점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특히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2024년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금융 상품이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진입을 쉽게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중저가 지역 집중… 강남권 비중 감소

서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 출처 : 뉴스1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이 늘어났지만, 강남보다는 강동·광진·금천 등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에 집중됐다.

지난해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동구(27.3%)로, 전년 대비 5%포인트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광진구(25.6%), 은평구(25.3%), 금천구(24.7%), 영등포구(24.0%) 등도 서울 평균(21.5%)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강남구(21.5%)와 서초구(21.2%)는 전년(각각 22.6%, 25.0%)보다 오히려 감소했다.

강남권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외지인들이 비교적 가격이 낮은 지역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 출처 : 연합뉴스

올해는 서울 강남권의 외지인 매입 비중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12일 강남구 대치·삼성동, 송파구 잠실 등 일부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되면서, 외지인의 ‘갭투자’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사려는 지방 투자자들의 문의가 눈에 띄게 늘었다”며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오르기 전에 미리 들어가려는 움직임이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 거주자의 지방 아파트 매입 비중은 5.5%로, 예년(7~8%)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 출처 : 연합뉴스

금리 부담과 지방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서울 거주자들의 지방 투자 수요는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서울 부동산 시장이 외지인 투자 수요에 따라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8

  1. 강남.잠실에 LH 아파트 지어라. 아파트값 좀 떨어지게 목동4동에 LH 아파트 결사반대 (공시지가보상상) 목4동에 (삼성물산) 하이엔드 재개발 대환영

관심 집중 콘텐츠

애플 실시간 통역 기능 도입

“삼성은 다 계획이 있었구나”…애플이 한발 늦게 출시한 ‘이 기능’

더보기
삼성SDI

삼성 기술력에 “미국 1위 기업도 넘어왔다”… 제대로 터진 ‘잭팟’에 ‘활짝’

더보기
현대제철

잘 나갈 땐 수 조원 벌었는데 “더는 못 버텨”…백기 든 현대제철 결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