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호가 급등,
시장 불안 조짐에 정부 개입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특히 강남 4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에서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며 시장이 다시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정부와 서울시는 이러한 급등세를 막기 위해 오는 6월까지 이상 거래를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정부의 개입 배경에는 서울의 아파트값 급등이 있다.
특히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와 마포·용산·성동 지역에서는 단기간에 매수세가 몰리며 호가가 빠르게 상승했다.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000건을 넘어섰으며,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최대 수준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거래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4억 원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강남구와 서초구 아파트는 각각 28억 원과 29억 원을 넘어섰으며, 용산구와 성동구 역시 전고점을 돌파했다.
이러한 흐름이 지속되면 가격 상승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정부와 서울시는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서울시 관계 기관과 협력해 거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투기 및 시장 교란 행위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정부, 부동산 이상거래 강력 단속 예고
정부는 부동산 시장 불안을 차단하기 위해 이달 10일부터 6월까지 서울 지역에서의 이상 거래를 집중 조사한다고 밝혔다.
주요 단속 대상은 집값 띄우기를 위한 허위 신고, 자금 조달 계획서 허위 제출, 불법 대출 연계 거래 등이다.

만약 위법 행위가 적발될 경우 국세청·금융위·지자체에 통보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 강경 대응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강력한 단속에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세가 쉽게 멈추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5%를 넘어서며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송파구의 경우 0.68% 상승하며 7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이러한 흐름이 지속되면 정부는 대출 규제 강화, 추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의 추가 조치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개입이 실수요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강남권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과거에도 정부가 강력한 단속을 벌였지만, 결국 거래 절벽만 초래했고 실거주자들이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졌다”며 “이번 조치 역시 시장의 반응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이 과열과 규제를 반복하는 상황에서 이번 단속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좌파 정부 전유물 부동산가격 폭등, 이재명이 뜨니 집값도 뜨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