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 한 달 새 11만명 해지
사라진 ‘청약 메리트’…29개월째 가입자 감소세
30대 직장인 김모 씨는 얼마 전 한숨과 함께 청약통장을 해지했다. 수년간 매달 10만 원씩 부어온 통장이었다.
그러나 세 차례나 도전했던 서울 아파트 청약은 번번이 광속 탈락이었고, 기약 없는 당첨을 기다리느니 차라리 주식이나 대출 이자 상환에 쓰는 게 낫겠다는 판단이었다.
김 씨의 선택은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니다. ‘내 집 마련 필수품’으로 불리던 청약통장이 이젠 잊혀진 유물이 되어가고 있다.
지난달에만 11만 명 넘는 사람들이 청약통장을 깨며 시장을 떠났다. 분양가는 천정부지로 오르고 청약 당첨 확률은 바늘구멍처럼 좁아진 현실에서 청약통장의 ‘가성비’는 급격히 떨어진 셈이다.
소득공제 등 혜택에도 5년미만 가입자 이탈↑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청약통장 가입자는 2660만9366명으로, 한 달 새 무려 11만176명이 줄었다.
이는 22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022년 6월 2859만9279명을 정점으로 29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신규 가입자보다 해지자가 빠르게 늘어난 결과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료에 따르면 서울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지난달 기준 3.3㎡당 47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38% 급등했다.
청약통장의 매력은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받을 수 있다는 점. 둘째, 무주택자에게 주어지는 ‘내 집 마련 기회’였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매력은 최근 들어 의미를 잃었다. 분양가상한제가 일부 지역에만 적용되면서 강남 3구나 용산구를 제외하면 분양가가 주변 시세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비싼 경우도 많아졌다.
과거처럼 저렴하게 분양받을 수 있는 ‘로또 청약’은 이제 강남권에서만 가능한 신기루가 되어버렸다.
서초구 ‘아크로 리츠카운티’는 청약 경쟁률이 482.8대 1, 송파구 ‘잠실래미안아이파크’는 268.7대 1에 달했다. 만점이 84점인 청약가점이 70점대 후반까지 치솟으며 ‘하늘의 별 따기’라는 말이 현실이 됐다.
청약통장 해지의 또 다른 이유는 경기 불황이다. 생활비 부담과 대출 이자를 갚기 위해 청약통장을 깨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가입 기간이 짧은 이들의 이탈이 특히 두드러진다. 5년 미만 가입자는 작년 11월 1197만7535명에서 올해 11월 1067만5744명으로 130만 명 넘게 줄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청년층과 신혼부부들이 청약통장에 묶여 있는 돈을 빼 다른 용도로 쓰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정부는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를 내놓고 있다. 올해 초 청약통장 금리를 0.3%포인트 올려 최대 3.1%로 인상했고,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 인정액도 기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납입액 소득공제 한도를 기존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늘려 혜택을 강화했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주택도시기금도 적신호가 켜졌다. 청약통장 납입액은 주택도시기금의 주요 재원이기 때문이다. 기금은 공공임대주택 건설,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등 주거 복지에 사용된다.
하지만 청약통장 가입자 감소로 기금 운용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실제로 주택도시기금 운용 잔액은 2022년 3분기 41조2021억 원에서 올해 3분기 21조9021억 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청약통장은 과연 다시 ‘내 집 마련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정부는 각종 지원책으로 청약 시장을 살리려 하고 있지만, 분양가 상승과 경기 불황이 지속되는 한 청약통장의 가치 회복은 요원해 보인다.
청약통장을 깨며 떠나는 이들이 늘어나는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이 아니다. 이는 현재 대한민국의 주거 현실이 보여주는 씁쓸한 단면이다.
대장동 개발해서 눈먼돈 먹은자늘아 모두 토해내라.
그것보단 청약통장을 쌈짓돈으로 쓰니 믿을수가 있나.. 130만명 빠졌다고 40조가 20조가 되겠냐.딴데 쓰니 뺀ㄱ 어차피 가능성도 없고 돈도 묶이는거 해지하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