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관광객은 역대 최대 기록
관광수입은 줄고 관광수지 적자 확대
“이제는 ‘많이’보다 ‘깊이’가 관건”

“사람은 많은데, 남는 건 없다”는 말이 괜한 푸념이 아니었다.
올해 1분기, 외국인 관광객이 사상 처음으로 380만 명을 넘어섰지만, 정작 한국 관광 수입은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결국 관광수지는 33억 달러 적자(약 4조 5천억 원)로 돌아섰고, 이 격차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쓰는 돈보다 한국인이 해외에서 더 많이 소비하고 있다는 구조적 한계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온 사람은 많은데, 돈은 안 쓰고 갔다
22일 야놀자리서치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관광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방한 외국인은 전년 동기 대비 13.7% 늘었고, 팬데믹 이전인 2019년보다도 0.7% 많아졌다.
하지만 관광수입은 같은 기간 23.8% 감소한 37억 8000만 달러에 머물렀다.

관광객 1인당 평균 소비액도 976달러로, 2019년 1290달러에서 크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결과의 배경으로 ‘질 낮은 관광 구조’를 지목한다. 크루즈 관광객이 대표적이다.
올해 1분기 전체 외래 관광객 중 7.4%가 크루즈선을 타고 한국에 들어왔는데, 이들은 하루 또는 반나절만 머무는 경우가 많아 숙박·식음료·쇼핑 소비가 제한적이다.
또 다른 원인은 ‘중국인 관광객의 부진’이다. 과거 면세점 매출의 중심이었던 중국 관광객의 소비력은 크게 위축됐고, 외국인 면세점 매출은 2019년 40억 달러대에서 올해 16억 달러로 급감했다.
반대로 한국인은 해외에 더 썼다
국내 소비는 부진한 반면, 한국인의 해외여행 지출은 빠르게 늘고 있다.

같은 기간 780만 명이 해외로 나가 70억 8000만 달러(약 9조 7천억 원)를 지출했으며, 이는 2019년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황금연휴 기간 카드 사용 통계를 보면, 국내 사용은 3% 남짓 늘어난 데 그쳤지만, 해외 카드 결제액은 무려 17.5%나 증가했다.
신한카드 분석에 따르면 고물가 속에서도 해외여행을 떠난 이들이 많았고, 이들이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값진 경험을 기대한다”고 판단해 지출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외국인은 적게 쓰고, 한국인은 많이 쓰는 ‘엇갈린 소비 구조’는 관광수지 적자를 더욱 키우고 있다.
실제로 관광수지 적자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쓴 돈보다 한국인이 해외에서 쓴 돈이 많을 때 발생하는데, 이번 분기 33억 달러 적자는 2019년 같은 분기의 22억 달러보다 50% 이상 늘어난 수치다.

관광업계는 이제 ‘양적 회복’을 넘어서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장기적으론 일본처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광산업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ㅣ
저개발국 및 중국 공산당 정부 여행객들이 많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