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등 돌린 우방국들
호주도 자국산 제품 구매 캠페인 본격화

미국이 예외 없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강행하면서, 가장 가까운 동맹국 중 하나였던 호주도 결국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섰다.
호주 정부는 국민들에게 “호주산 제품을 사자”며 소비 촉진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도 예고했다.
“호주 제품을 구매하라”… 총리의 호소
13일(현지시간) ABC와 SBS 등 호주 현지 매체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들에게 호주산 제품을 구매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국민들이 호주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야말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산업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며 소비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어, 오는 25일 발표될 호주 연방정부 예산에 ‘호주산 구매(Buy Australian)’ 캠페인 지원 예산을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캠페인 수준을 넘어, 연방정부 조달 계약에서 더 많은 호주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해만 해도 호주 연방정부 조달 계약 규모는 약 1천억 달러(한화 약 145조 원)에 달했다. 이를 적극 활용해 자국 기업 보호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미국 관세 폭탄… 호주의 실망과 대응
호주 정부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면제를 받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전을 펼쳤으나, 결국 미국은 모든 교역국에 25%의 관세를 일괄 부과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에 대해 “우리는 최대한 노력했지만, 결국 관세 면제를 얻지 못했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다.
다만,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해, 보복 관세 부과와 같은 대응책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대신, 국민들의 소비 패턴을 바꾸는 방식으로 자국 경제를 보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산 불매 움직임, 호주도 동참할까?
미국발 관세 조치에 대응해 다른 국가들도 자국산 제품 구매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지난달 당시 총리였던 쥐스탱 트뤼도가 국민들에게 미국산 제품 대신 캐나다산을 구매할 것을 촉구했다.

이로 인해 캐나다에서는 미국산 주류를 치우고, 캐나다산 제품을 전면에 배치하는 매장이 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카페에서는 아메리카노(Americano) 대신 ‘캐나디아노(Canadiano)’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유럽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났다. 스웨덴에서는 미국산 대체품을 소개하는 단체의 페이스북 그룹이 7만 명 이상 가입하며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덴마크에서는 최대 식료품 기업이 유럽산 제품에만 검정 별을 표시해 소비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호주도 결국 자국산 제품 소비 장려에 나섰다. 그동안 미국과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해 온 호주가 자국 보호에 나서면서, 향후 국제 무역 질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