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법 폐지 시사에 업계 긴장
삼성·SK, 미국 투자 전략 흔들리나

“수조 원을 투자했는데 이제 와서 보조금을 안 준다고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 국내 반도체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그는 지난 4일(현지시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반도체법을 포함한 모든 것을 없애야 한다”며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반도체 지원법(CHIPs Act)’ 폐지를 시사했다.
이 법안은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시설을 확대하려는 기업들에게 총 527억 달러(약 70조 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미국에서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조금으로 각각 6조 9000억 원, 6700억 원을 지원받기로 했다.
그러나 트럼프의 발언으로 이 보조금이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2030년까지 370억 달러(약 49조 원)를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38억 7000만 달러(약 5조 2000억 원)를 투자해 AI 반도체 패키징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

그러나 트럼프가 집권할 경우, 기존 약속된 보조금 지급이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경우 언제든 정책이 뒤집힐 수 있다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정치적 변수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반도체법 폐지 시사는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니라 미·중 패권전쟁 속에서 미국의 전략 변화 가능성을 의미한다.
삼성·SK, 대응책 마련 나서

이 같은 정책 변화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현재 미국의 반도체법에 따라 중국 내 공장 운영과 확장에 제한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보조금까지 철회한다면 기업들은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더욱 복잡한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한다.
삼성과 SK하이닉스도 당장 정책 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 내 대관 업무를 총동원해 현지 정치권과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최악의 경우 보조금 없이도 지속 가능한 투자 전략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유럽과 동남아 등 제3국 시장에서의 반도체 생산 기지를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라 지나치게 한 곳에 집중된 투자 구조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권 교체가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과 SK하이닉스는 또 한 번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 속에서 새로운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트럼프가 하는 행세는 나르시스트 자체다.
자기가 최고이며 지배욕구가 지나쳐서 선을 넘어서까지 통제하려는 최악의 미 대통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