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불안한데”… 새로운 ‘황금기’ 기대한다는 ‘이 나라’, 비결 뭐길래

새로운 물결 올라탄 미국 경제,
생산성 상승의 황금기를 맞이할까
미국
미국의 노동 생산성 / 출처 : 연합뉴스

“생산성 상승의 골든 타임이 도래할 것”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전해지면서 사람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노동생산성은 최근 5개 분기 연속 2% 이상의 상승세를 기록하며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노동생산성은 전년 동기 대비 2% 상승하며, 5개 분기 연속 2% 이상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
미국의 노동 생산성 / 출처 : 연합뉴스

이는 코로나19 이전 5년간 평균인 1.6%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가 과거 1990년대 IT 혁명 시기의 생산성 상승과 유사한 전환점을 맞이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AI와 기술 혁신이 가져올 변화

생산성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노동시장과 기업 투자에서의 변화가 꼽힌다.

코로나19 이후 많은 노동자가 근무 형태를 바꾸거나 새로운 직업군으로 이동하면서 노동 시장의 효율성이 높아졌다.

미국
미국의 노동 생산성 / 출처 : 뉴스1

여기에 기업들이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화와 기술 혁신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점도 주효했다.

클리어브릿지투자의 제프 슐체는 “AI와 같은 혁신 기술이 본격적으로 결실을 맺기 전에 이미 생산성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향후 생산성 성장률이 2.5~3%를 기록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AI와 같은 기술 혁신이 미국 경제의 미래에 미칠 긍정적 효과는 여러 방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의회예산국(CBO)은 AI 기술 도입으로 노동과 자본의 생산성이 크게 높아지면 연방정부 부채 비율 상승세가 둔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미국의 노동 생산성 / 출처 : 연합뉴스

시장조사기관 야데니 리서치의 관계자는 미국의 노동생산성 성장률이 2030년까지 3.5%에 이를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1950년대, 1990년대와 마찬가지로 생산성의 황금기를 맞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물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생산성 증대가 경제 전반으로 확산되려면 기술 혁신과 함께 교육과 인프라 투자 확대가 병행되어야 한다.

노동 시장의 구조적 불균형과 고령화도 경제 성장의 잠재적 리스크로 남아 있다.

미국
미국의 노동 생산성 / 출처 : 연합뉴스

미국 경제가 생산성 상승을 기반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면서 인플레이션 없는 경제 성장과 재정 안정성 강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AI와 같은 혁신 기술의 본격적인 도입이 가시화되면 미국 경제가 다시 한번 황금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교육과 기술 인프라 투자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

  1. 우리나라의 전 산업계도 AI의 적극 도입,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심 집중 콘텐츠

D램 시장

중국산은 안 될 줄 알았는데 “턱 밑까지 쫓아왔다”… 삼성·SK 대응은

더보기
국제 유가

이미 최고 가격 기록했는데 “더 오른다”…’초비상’ 걸린 이유

더보기
건강보험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건강보험, 형평성 논란 커지는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