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아만 있었는데 “이게 웬일?”…’한국과는 다르다’는 천조국 상황

3분기 미국 가계 순자산 사상 최고치
401(k) 은퇴 저축 제도 영향
미국
미국 가계 순자산 증가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가계의 주머니가 하루아침에 불어났다. 지난 3분기 미국 가계의 순자산이 무려 168조 8천억 달러(약 22경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기 때문이다.

특히 주식 투자로 얻은 수익이 전체 자산 증가분의 80%를 차지해 눈길을 끈다.

“앉아서 돈 번다”…주식시장이 만든 기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미국 가계의 순자산은 전분기 대비 4조 8천억 달러(2.9%) 증가했다.

미국
미국 가계 순자산 증가 / 출처: 연합뉴스

이 중 주식 보유 가치 상승이 3조 8천억 달러를 차지했다. 이는 당시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승리 전망과 기업 친화적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3분기 S&P 500지수는 5.5%, 나스닥지수는 2.4% 상승했다.

AI 열풍이 만든 ‘매그니피센트 7’의 힘

이러한 주식 자산의 급증은 ‘AI 열풍’과 무관하지 않다. 구글,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로 구성된 ‘매그니피센트 7’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했다.

미국
미국 가계 순자산 증가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들 기업은 AI 혁명의 선두주자로 인식되며, 생산성 향상과 수익성 제고에 대한 기대감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은퇴 자산도 쑥쑥…401(k) 효과

미국 가계의 자산 증가에는 401(k)로 대표되는 은퇴 저축 제도의 영향도 크다.

직장인들은 급여의 일부를 401(k) 계좌에 적립하고 이에 대한 세금 혜택을 받는다.

미국
미국 가계 순자산 증가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2024년 기준 연간 적립 한도는 2만 3천 달러이며, 50세 이상은 추가로 7,000달러를 적립할 수 있다.

많은 기업들이 직원 적립금의 일정 비율을 추가로 적립해주는 매칭 제도를 운영해 자산 증식에 도움을 주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높은 대출금리와 생활비로 인해 가계의 소비 수요가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연준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소비자 신용대출은 2.5%, 모기지는 3.1% 각각 증가했다.

미국
미국 가계 순자산 증가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반면 부동산 가치는 3분기에 약 2천억 달러 감소해 자산 증가를 일부 상쇄했다.

최근 몇 년간 미국 가계는 양호한 자산부채 상황과 강력한 임금 상승에 힘입어 경제 성장의 주된 동력이 되어왔다.

하지만 높아진 밸류에이션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 잠재적인 위험 요소들도 존재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한 상황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서울 아파트 매물

“매달 더 힘들어진다”… ‘아파트 공화국’ 휘청이자 집주인들 ‘망연자실’

더보기
한국 출산율 반등 신호

한국이 마침내 “드디어 반등 찍었다”…14년 만에 ‘깜짝’

더보기
수출 구조

반도체·자동차·이차전지까지 ‘난리났다’…맥킨지 분석에 ‘날벼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