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는 것도 사치 “은퇴 필요 없어요”…요즘 중장년층 ‘눈물’ 흘리는 이유

60세 이상 취업자 700만 명 육박
일자리 희망자는 두 배 이상
전문가들 “정년 연장 시급”
노인 일자리
노인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일하고 싶어도 마땅한 자리가 없어 답답합니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만난 한 어르신의 한숨 섞인 말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고령층 취업자 수는 빠르게 증가하는데, 이들을 수용할 일자리와 관련 제도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정년 연장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고령층 취업자, 50대·40대 추월

기초연금
노인 일자리 / 출처: 뉴스1

2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는 690만 6000명으로 전년보다 34만 명(5.1%) 증가했다.

이는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다.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23.9%로, 50대(667만 4000명, 23.1%), 40대(615만 2000명, 21.2%), 30대(553만 7000명, 19.1%)를 모두 추월했다.

주목할 점은 성장 속도다. 2021년 1월 448만 8300명이던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불과 1년 4개월 만에 150만 명 이상 증가해 2022년 5월 600만 명을 넘어섰다.

600만 명 돌파 후 3년여 만에 700만 명에 육박한 것이다. 70세 이상 취업자도 222만 9000명으로 전년보다 8.8% 늘었다.

노인 일자리
노인 일자리 / 출처: 뉴스1

부족한 노인 일자리, 높아지는 수요

고령층의 취업 의지는 높지만 이를 수용할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노인일자리 수는 109만 8000개로 예상되지만, 노인일자리 참여 희망자 237만 1000명 대비 충족률은 46.3%에 불과하다.

남 의원은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OECD 1위로 높고, 전체 노인 중 일자리 참여희망 비율이 20%를 넘는다는 점을 감안해 노인일자리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층의 취업 동기를 살펴보면 ‘생활비에 보탬'(55.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 일자리
노인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희망 월 임금은 200만~250만 원(19.4%), 300만 원 이상(19.3%), 150만~200만 원(16.8%) 순이었다.

이러한 현실은 노후 소득 보장 체계가 아직 미흡하다는 점을 반영한다.

일자리를 통한 소득 창출이 노후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문가들 “정년 연장 논의 서둘러야”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정년 연장 논의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노인 기준 상향 논의
노인 일자리 / 출처: 연합뉴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령 인구 증가로 취업자 수와 평균 근로 희망 연령이 모두 상승하는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정년 연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지적했다.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공동 심포지엄에서 “고령층이 안정적인 임금 일자리에서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연금 수급 시기와 정년 사이의 간극도 중요한 문제로 지적됐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현재 법정 정년은 60세, 국민연금 수급 시점은 63세로 3년의 차이가 있다”며 “연금 수급 연령이 65세로 상향되는 2033년 이전에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노동시장의 변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이제는 정년 연장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함께 고령자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