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도 예외 없다”, “이러다 다 접게 생겼다”… 삼성·애플 ‘직격탄’ 맞나

미국 외 생산 제품에 25% 부과 방침
전자부품 생태계까지 ‘불똥’ 번져
공장 이전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
삼성
미국의 스마트폰 관세 / 출처 : 삼성전자 제공

“가격을 올릴지, 손해를 감수할지 선택하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꺼내든 ‘관세 카드’에 삼성전자와 애플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오는 6월 말부터 미국 외 국가에서 제조된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발언이 나온 뒤, 글로벌 전자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애플·삼성 예외 없다”…美 아닌 곳서 만들면 세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에 “아이폰은 미국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최소 25%의 관세를 물게 될 것”이라고 적었다.

같은 날 백악관 집무실에서는 “애플뿐 아니라 삼성도 포함된다”며 “해외에서 만드는 스마트폰은 모두 관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못 박았다.

미국 자동차 관세 공식화
미국의 스마트폰 관세 / 출처 : 연합뉴스

양사가 직면한 문제는 명확하다. 아이폰은 인도, 삼성 스마트폰은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생산된다.

지금 당장 미국으로 공장을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업계에서는 “트럼프식 정책의 현실적 압박이 재현된 것”이라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기, LG이노텍, 삼성·LG디스플레이 등 국내 핵심 부품사들도 덩달아 불안감에 휩싸였다.

이들 기업은 삼성전자와 애플에 카메라 모듈, OLED 패널, 반도체 기판 등 주요 부품을 공급한다.

스마트폰 출하가 줄거나, 완성품 가격이 올라 소비자 수요가 감소할 경우 부품업계도 직접적인 타격을 피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과 삼성의 고객 비중이 높은 회사일수록 충격이 클 것”이라며 “특히 공급단가 인하 요구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삼성
미국의 스마트폰 관세 / 출처 : 연합뉴스

삼성전기의 경우 주요 3개 사업 모두가 삼성전자와 애플에 직결돼 있으며, LG이노텍은 애플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공장 지으면 관세 면제” 말은 했지만…현실은 딴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공장을 지으면 관세는 없다”고 강조했지만, 이는 기업 입장에선 사실상 선택지에서 제외된 상황이다.

생산 기지 이전에는 수년이 걸리고, 미국 내 인건비와 생산비 상승도 부담이다.

그럼에도 트럼프는 “지금은 모든 것이 컴퓨터화돼서 가능하다”며 단호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경제연합회는 이날 발표한 수출기업 150개사 설문에서 “관세 정책이 지속되면 올해 매출이 평균 4.9%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전기·전자 업종만 놓고 보면 그 수치는 8.3%까지 치솟는다.

삼성
미국의 스마트폰 관세 / 출처 : 뉴스1

정치권에서는 양국 정부 간의 직접 협상이 유일한 돌파구로 거론된다.

“다음 달 우리나라도 새 정권이 출범하면 미국과 정상 외교를 통해 ‘빅딜’을 시도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흘러나온다.

관세 폭탄의 계기가 된 것이 ‘공장 이전’이지만, 현실을 아는 모두가 결국 해답은 외교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

  1. 컴퓨터화 ㅋㅋㅋㅋ 컴퓨터가 먼디? 뭣이 컴퓨터인디? 뭣이? 공장 이전한다고 해도 초기 비용에 인건비, 기사에 나온 재료비 등 따지면 오히려 그냥 공장 이전 없이 만들어 파는 게 나을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