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지갑 안 열리더니 “OECD 꼴찌 수준이다”… 속병 앓는 韓 경제

수출 덕분에 간신히 2% 성장
내수는 OECD 최하위 기여도
내수
한국 경제 내수 부진 / 출처 : 연합뉴스

“수출은 살았지만, 소비는 죽었다.”

지난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간신히 2.0%를 기록했지만, 이 중 내수가 차지한 기여도는 0.1%포인트에 불과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수출이 아니었다면 사실상 성장이라 부르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내수 기여도, 세계 최하위

내수
한국 경제 내수 부진 / 출처 : 연합뉴스

23일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0% 중 내수가 차지한 기여도는 겨우 0.1%포인트였다.

분기별로 보면 1분기 0.5%에서 2분기 -0.1%, 3분기 0.8%로 반등했다가 4분기 다시 -0.2%로 돌아섰다.

OECD 주요 10개국 평균 내수 기여도가 1.6%포인트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압도적인 최하위였다. 인도네시아는 무려 5.5%포인트, 스페인 2.8%, 영국 2.4%를 기록했다.

독일과 프랑스조차도 0.3%포인트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그보다 낮았다.

내수
한국 경제 내수 부진 / 출처 : 연합뉴스

반면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1.9%포인트로 OECD 국가 중 최고였다. 수출이 2.9%포인트를 끌어올렸고, 수입은 -1.0%포인트를 기록해 전체 GDP 성장에 실질적 기여를 한 셈이다.

고령화·부동산·부채…내수에 얽힌 구조적 덫

대한상공회의소가 같은 날 발표한 분석 결과는 한국 내수가 단기 충격보다 구조적 한계에 가깝다는 점을 보여준다.

1988~1996년 평균 9.1%였던 소비 성장률은 외환위기 이후 4.5%, 카드대란 이후 3.1%, 금융위기 이후 2.4%로 하락했고, 코로나19 이후엔 1.2%까지 떨어졌다.

내수
한국 경제 내수 부진 / 출처 : 뉴스1

GDP 대비 내수 소비 비중은 2002년 56.3%에서 2021년 47.1%로 감소했다. 고령화로 인한 소비 여력 저하가 주요 원인이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은 최근 64.6%까지 하락해 모든 세대 중 가장 낮다.

고용시장도 내수 부진에 따른 여파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내수 의존도가 높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는 올해 1분기 기준 5분기 연속 감소했다.

도소매업은 특히 타격이 심했다. 취업자가 6만 명 넘게 줄었고, 배달라이더가 많은 운수·창고업도 3천 명 줄며 6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수출은 미국의 통상 압박과 관세 전쟁 영향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내수
한국 경제 내수 부진 /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한국 경제가 ‘수출의 힘’으로 버텼다면, 올해는 그마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AI, 소프트웨어 산업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과 고령층 소비 여력 확대 정책 병행도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1

  1. 지금의 부동산 위주의 내수경제 활성화가 불러온 내수 경기 침체다. 일본의 부동산 거품 붕괴처럼 장기화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