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일단 더 올려서 부르자”… ‘이상 현상’ 감지된 서울 부동산, 무슨 일?

감정가보다 10억 원 더 주고 낙찰
토지규제 피하려는 수요 몰려
서울 전역 낙찰가율 100% 넘어
서울
서울 아파트 경매 / 출처: 연합뉴스

“강남 대치동 아파트는 감정가보다 10억 이상 높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경매장이 일반 매매시장보다 더 뜨겁습니다.”

광고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 이례적인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감정가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낙찰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일반 매매시장보다 더 과열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규제를 피하려는 투자자들과 실수요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감정가 훌쩍 넘어 낙찰… 경매장 열기 ‘후끈’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상승
서울 아파트 경매 / 출처: 연합뉴스

18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 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6월 1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아파트 경매 중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100%를 넘는 사례가 24건에 달했다.

이는 1~5월 월평균 25.4건과 비슷한 수준으로, 한 달의 절반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미 월평균에 육박하는 수치다.특히 강남권 인기 아파트의 낙찰 경쟁은 더욱 치열했다.

지난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보미도맨션(106㎡)은 감정가 31억 5천만 원보다 무려 10억 6천만 원 이상 높은 42억 1천533만 원에 낙찰됐다. 이는 매각가율이 133.8%에 달하는 수치다. 이러한 현상은 강남권의 다른 인기 지역으로도 확산되었다.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84㎡)는 감정가보다 4억 4천600만 원 높은 24억 700만 원(매각가율 122.8%)에 낙찰됐으며, 송파구 신천동 롯데캐슬골드(166㎡)도 감정가보다 5억 원 이상 비싼 30억 1천만 원(120.9%)에 손바뀜됐다.

광고
서울
서울 아파트 경매 / 출처: 연합뉴스

강남권 넘어 서울 전역으로 확산

이러한 과열 현상은 강남권에만 국한되지 않고 서울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동작구 대방동 성원 아파트(84㎡)는 감정가보다 8천만 원 높은 13억 310만 원(106.8%)에 거래됐으며, 동대문구 휘경동 브라운스톤휘경(59㎡)도 감정가보다 1천400만 원 높은 7억 6천200만 원(101.9%)에 낙찰됐다.

직방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각가율은 96.5%로, 2022년 6월(103.0%)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
서울 아파트 경매 / 출처: 연합뉴스

자치구별로는 마포구(113.7%), 성동구(108.5%), 중구(108.4%), 영등포구(107.2%) 등에서도 감정가를 넘는 낙찰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규제 회피와 시세 차익 노린 전략적 접근

경매시장이 이처럼 과열되는 데는 명확한 원인이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에 따른 규제 회피 수요다.

광고

강남3 구와 용산구 등 주요 지역이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일반 매매 시 실거주 의무와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등 규제가 강화됐다.

서울
서울 아파트 경매 / 출처: 연합뉴스

그러나 경매로 낙찰받을 경우 이러한 규제를 피할 수 있어 투자자들이 경매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실수요자들 역시 이런 경매 열기에 가세하고 있다. 신축 아파트 가격 급등, 대형 아파트의 희소성, 전반적인 공급 부족 상황에서 경매는 상대적으로 좋은 조건의 주택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지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최근 대선으로 새 대통령이 선출되며 향후 부동산 정책 방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금리 변화, 공급 확대 여부,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정책 변수들이 시장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당분간은 변화의 추이를 지켜보며 움직이는 신중한 수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