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36곳, 연체율 10% 넘어서
금융위원회 적기시정조치 준비
서민들의 마지막 금융 보루로 여겨지던 저축은행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영향으로 저축은행 79곳 중 36곳의 연체율이 무려 1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자 금융당국이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태세다.
저축은행 연체, 작년보다 2.5배 증가
1일 저축은행 79곳의 3분기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연체율 10% 이상인 곳이 전체의 45.6%인 36곳에 달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14곳(17.7%)에 비해 2.5배 이상 늘어난 수치로, 특히 안국저축은행(19.37%), 유니온저축은행(16.3%), 스카이저축은행(15.83%) 등은 15%가 넘는 높은 연체율을 기록했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부실채권 비율이 20%를 웃도는 곳도 4곳이나 된다는 사실이다.
솔브레인저축은행이 36.9%로 가장 높았고, 안국저축은행(24.81%), 대아저축은행(22.65%), 상상인저축은행(22.2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위원회는 이달 중 2곳에 대해 적기시정조치를 준비 중이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3월 말 기준으로 실시한 경영실태평가에서 자산건전성 등급을 ‘취약’으로 판정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적기시정조치를 받게 되면 해당 저축은행은 인력과 조직 운영 개선, 경비 절감, 영업소 효율화, 신규 사업 진출 제한 등의 조치를 이행해야 한다.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경우 영업 정지나 합병·매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축은행의 위기는 IMF 외환위기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데, 당시 231개였던 상호신용금고(현 저축은행)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135개가 문을 닫아 전체의 58%가 넘는 금고가 사라졌다.
저축은행, 부실 만회 위해 ‘저신용 대출’ 꺼려
한편 2024년 1분기 기준 저축은행의 PF 관련 익스포저는 9조 3907억 원에 달하며, 이 중 절반인 4조 6948억 원이 부실 채권으로 분류되어 현재의 상황도 심각하다.
이는 서민들의 금융생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부실 만회를 위해 신용도가 낮은 서민들에 대한 대출을 꺼리고 있다.
실제로 저축은행업권은 2023년 5559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이후 중저신용자 대상 신규 대출을 대폭 축소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적기시정조치가 단순한 부실 정리가 아닌 경영 개선과 정상화를 위한 과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일부 건전성 문제가 있는 곳에 대해 절차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지만, 이는 업권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한국금융연구원 박준태 연구위원은 “현재 4개 권역으로 나뉜 비수도권 영업구역을 일부 통합해 광역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축은행이한개만빼고 일본애들거 아닌가요.
익명씨 이상한 소리하지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