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긴축 경영, 구조조정 바람 속
한국 경제의 먹구름
![대기업](https://econmingle.com/wp-content/uploads/2024/12/restructuring-of-large-corporations-001-1024x683.jpg)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야 할 기업들인데, 이대로 정말 괜찮을까?”, “대기업에 들어간다고 해서 걱정이 끝나는 것도 아니구나”
한국 경제에 긴축 경영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국내 대기업 중 절반 이상이 내년 경영 기조를 ‘긴축’으로 정하며, 조직 개편과 인력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의 61%가 내년 긴축 경영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대내외적 경제 불확실성이 그 배경으로 꼽힌다.
![대기업](https://econmingle.com/wp-content/uploads/2024/12/대기업2-1024x683.jpg)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원가 절감, 인력 합리화, 신규 투자 축소 등의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실제로 올 하반기만 해도 주요 대기업 계열사 14곳이 희망퇴직을 실시했으며, 신세계면세점과 LG디스플레이 등 전례 없는 기업들마저 인력 구조조정에 동참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구조조정이 고용 시장을 위축시키고 내수 침체를 더욱 심화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긴축 경영이 확대되는 가운데, 재무 건전성 악화도 심각한 수준이다.
![대기업](https://econmingle.com/wp-content/uploads/2024/12/대기업-1-1-1024x593.jpg)
국내 500대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이 전체의 20%를 차지하며, 이들 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다.
특히 석유화학 업종은 올 3분기 영업이익이 83.3% 감소하며 업계 평균 이자보상배율이 1에도 못 미치는 0.42로 나타났다.
석유화학뿐만 아니라 LG디스플레이, SK온, 롯데케미칼 등 주요 대기업들이 잠재적 부실기업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 같은 현상은 글로벌 철강, 반도체 등 주요 산업군에서의 수익성 악화와 맞물려 한국 경제에 경고등을 켜고 있다.
긴축 경영이 가져올 경제 악순환 우려
![대기업](https://econmingle.com/wp-content/uploads/2024/12/대기업-3-1024x682.jpg)
긴축 경영의 여파는 고용 시장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0월 취업자 증가 폭은 4개월 만에 10만 명 아래로 떨어졌으며, 도소매업과 건설업은 각각 8개월, 6개월 연속 고용 감소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고용 감소와 내수 위축이 반복되면서 경제가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을 경고한다.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축소하면서 경제 성장률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대기업](https://econmingle.com/wp-content/uploads/2024/12/중소기업-1-1024x538.jpg)
경총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내년 경제 성장률을 1.9%로 전망하고 있으며, 내수 경기 회복 시점을 2026년 이후로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자율적인 긴축 경영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투자 유인을 높이고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없다면 한국 경제는 장기적인 침체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제정신 아닌 사람 많네.
모지리 때문이지 왜 민주당때문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