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력산업, 정말 심각한 상황…전문가들도 놀랐다

연초부터 생산·출하 동반 하락 ‘비상등’
자동차·철강 등 주력산업 위기 심화
전문가들 “특단의 대책 필요한 시점”
제조업
제조업 부진 심화 / 출처: 연합뉴스

한국 경제의 뿌리인 제조업이 흔들리고 있다. 생산과 출하가 동반 감소하면서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수출 부진이 맞물리며, 제조업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제조업 생산·출하 ‘빨간불’

올해 초부터 제조업의 부진이 뚜렷해지고 있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제조업 생산지수는 103.7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2% 감소했다. 이는 2023년 7월(-6.6%)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제조업
제조업 부진 심화 / 출처: 연합뉴스

특히 자동차(-14.4%), 1차금속(-11.4%), 기계장비(-7.5%) 등 핵심 산업에서 생산이 급감했다. 전월과 비교해도 제조업 생산은 2.4% 줄어들며 연초부터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출하량도 마찬가지다. 1월 제조업 제품 출하는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하며 2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내수 출하는 11.8% 줄었고, 수출 출하도 1.2% 감소해 국내외 시장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침체, 경기 둔화 신호?

제조업
제조업 부진 심화 / 출처: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제조업 부진이 단순한 계절적 요인이 아닌 경기 둔화의 징후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계절 조정된 1월 제조업 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2.4% 감소했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2월 49.9로 하락했다. PMI 지수가 50 이하로 떨어진 것은 제조업 활동이 위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제 금융 정보 서비스 기업 S&P 글로벌 마켓인텔리전스의 우사마 바티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제조업의 생산과 판매 증가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산업 전반의 위축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 경제의 근간, 제조업이 중요한 이유

제조업
제조업 부진 심화 / 출처: 연합뉴스

제조업이 침체되면 한국 경제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제조업은 2019년 기준 GDP의 약 28%, 수출의 84%를 차지하는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이다.

또,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고용 파급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제조업에서 한 명의 일자리가 생기면, 다른 산업에서 2.4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한국은 자원 빈국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는 중요한 수단이 제조업 수출이다. 내수 시장이 협소한 만큼, 제조업 수출이 위축되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특단의 대책’ 필요

제조업
제조업 부진 심화 / 출처: 연합뉴스

이 같은 위기감 속에서 한국경제인협회는 “우리나라 제조업이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쟁국 수준의 산업 지원 정책과 국내 생산 촉진을 위한 세제 개편 등의 조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만약 지금과 같은 하락세가 지속된다면, 한국 경제의 근간이 흔들리는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는 경고가 쏟아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0

  1. 현기는 노조배불리느라 자동차부립품을 모두 베트남.중국.인도로내보내놓고 차량가격올리면서 국내제조업죽이는 대표적기업! 금형제조사업까지 망쳐놨으니 이런 기업 자동차 사는것이 대역죄

관심 집중 콘텐츠

SK온

아마존이 눈독 들이더니 “결국 한국 택했다”…4조 ‘잭팟’

더보기
돌반지 문화

“백 년 된 한국 문화인데”… 치솟는 금값 앞에 ‘흔들’, 대체 무슨 일

더보기
조기 사교육

“남들 다 이 정도는 한다는데”…부모 욕심에 웃음 잃는 아이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