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도 토요타도 반했다”…KAIST에서 시작해 몸값만 5조 원 ‘훌쩍’ 넘은 기업

한국 로봇산업의 새로운 신화 탄생
KAIST 출신의 세계적 기술력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국산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연합뉴스

“우리 기술력으로도 세계 정상에 설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실에서 시작된 작은 도전이 글로벌 거인들을 놀라게 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현재 시가총액 5조 원을 돌파하며 한국 로봇 산업의 선두주자로 우뚝 섰다. 삼성전자와 일본 토요타까지 이 기업의 기술력에 반한 가운데, 세계 로봇 시장에서 괄목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구실에서 태어난 글로벌 로봇 기업

KAIST 출신 기업들이 한국 기술창업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KAIST 출신 창업 실적은 연평균 110건에 달했으며, 이들 기업의 가치는 이미 10조 원을 돌파했다고 KAIST가 지난 14일 밝혔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연합뉴스

그중 단연 돋보이는 기업이 바로 레인보우로보틱스다. 2011년 2월 국내 최초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한 기계공학과 오준호 석좌교수가 설립한 이 회사는 2021년 2월 코스닥에 입성했다.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협동 로봇, 모바일 로봇, 이동형 양팔 로봇, 사족보행 로봇 등을 연구 개발해 온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현재 5조 원의 놀라운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다.

“성장동력 발굴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국가 과제를 한국 토양에 맞는 기술창업 생태계 모델로 구현하겠습니다.” KAIST 배현민 창업원장은 국내 대학 창업 생태계의 성공적 사례를 계속 만들어 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기술력으로 세계를 놀라게 한 ‘로봇 챔피언’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뉴스1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성공 스토리는 2015년 한 획을 그었다.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가 주최한 재난대응 로봇 경진대회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DRC-HUBO’는 세계 유수의 로봇 기업과 기관을 제치고 당당히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극한 재난 상황에서 로봇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시험하는 자리였다.

DRC-HUBO는 모든 임무를 가장 빠르고 완벽하게 수행해 만점을 받았다. 단순한 실험실 로봇이 아닌 실전에서 활약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린 결정적 계기였다.

이 성공은 우연이 아니었다. 회사 설립 이전부터 개발된 휴보(HUBO)는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으로서 미국 해군, MIT, 구글 등 글로벌 기관과 기업에 판매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연합뉴스

연구용 로봇을 넘어 실제 상업적 가치를 창출한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드물었다.

삼성전자와 토요타가 주목한 기술 경쟁력

“모든 핵심 기술을 내부에서 개발해 시장과 고객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우리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는 회사의 핵심 경쟁력을 이렇게 설명했다.

이 독보적 기술력에 주목한 삼성전자는 2023년 약 867억 원을 투자해 14.83%의 지분을 확보, 2대 주주로 올라섰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연합뉴스

더 나아가 삼성전자는 2029년까지 콜옵션을 통해 최대 59.94%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할 권리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스타트업의 혁신 에너지와 대기업의 자본력이 결합된 대표적 사례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글로벌 성장을 가속화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일본의 자동차 거인 토요타까지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납품 계약을 체결하며 그 기술력을 인정했다.

이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족보행 로봇에서 출발해 협동로봇, 4족 보행 로봇,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연합뉴스

특히 협동로봇 시장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협동로봇은 작업자와 한 공간에서 안전하게 협력할 수 있어 제조업뿐 아니라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KAIST의 적극적인 창업 지원 정책도 레인보우로보틱스와 같은 성공 사례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교원 창업 심의와 총장 승인 절차 등을 폐지해 창업 승인 절차를 간소화했고, 학생 창업의 경우 창업 휴학 가능 기간을 기존 4학기에서 무기한으로 연장할 수 있게 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력 / 출처: 연합뉴스

뿐만 아니라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외부 전문가를 매칭해 제작비를 지원하는 ‘패스트 프로토타이핑’ 등의 창업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 2년 걸리던 시제품 제작 기간을 6개월로 대폭 단축할 수 있게 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성공 스토리는 한국 기술창업 생태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

연구실에서 시작된 작은 도전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기업으로 성장하며, 한국 로봇 기술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고 있다.

2021년 코스닥 상장 이후 지난해 연 매출 150억 원을 돌파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행보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7

관심 집중 콘텐츠

파리 식당가 와인 바꿔치기

한국인 사랑 듬뿍 받는 여행지인데 “환상이 깨졌다”…‘발칵’ 뒤집힌 이유

더보기
한화 대미 라인

미국서 ‘러브콜’ 날아들더니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 한화 행보에 ‘눈길’

더보기
모아타운

“더이상 못 짓겠어요” 줄줄이 떠나던 기업들… 지금은 ‘여기’로 모인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