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안 써요” 외면당하자…’100조’ 시장 겨냥한 정부의 특단 대책

터빈 업계 “트랙레코드 없어 외면당했다”
국내 해상풍력 시장, 공공기관 주도로 판 바꾼다
100조 원 규모 시장에 국산 기술 진입 물꼬 터
국내 터빈
국내 터빈 인센티브 / 출처: 연합뉴스

“실적이 없어서 못 쓰겠다.”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서 한국산 기자재를 향한 냉정한 평가였다.

1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대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고배를 마시자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공공 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 방안’을 발표하며 국산 터빈 사용 시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획기적인 정책으로 국내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공공주도로 국산 터빈에 날개 달다

국내 터빈
국내 터빈 인센티브 / 출처: 연합뉴스

정부는 에너지 안보 강화 차원에서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추가 요금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정부 연구개발(R&D) 차원에서 개발된 국내 기업의 신규 터빈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에도 추가 전기요금 혜택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현재 두산인프라코어와 유니슨이 정부 R&D에 참여해 각각 10MW급 대형 풍력발전 터빈을 개발 중이다.

국내 터빈
국내 터빈 인센티브 / 출처: 연합뉴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 R&D로 개발하는 터빈들은 트랙 레코드(운용 데이터)가 없어 사업자 입장에서는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다.”며 “이 부분에 정책적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있었습니다.”고 설명했다.

해외 의존에서 벗어나 자생력 키운다

작년까지 진행된 해상풍력 공공 입찰 가격 상단은 1kWh에 약 200원이었다.

이번 정책으로 공공 사업자가 정부 지원으로 개발된 국산 터빈을 사용할 경우, 여기에 추가 요금이 더해지게 된다.

국내 터빈
국내 터빈 인센티브 / 출처: 연합뉴스

구체적인 인센티브 금액은 5월 전체 해상풍력 경쟁 입찰 공고 때 발표될 예정이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향후 수백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초기부터 해외 기업 중심으로 형성되면서 경제안보 불안을 야기하고, 국내 풍력 산업 생태계 구축에 실질적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공공 시장 참여 기준도 명확히 했다. 한 공공기관이 단독으로 34% 이상 참여하거나, 복수 기관이 50%를 초과하여 출자하는 경우 참여가 가능하다.

더욱이 정부 R&D 참여 기재자를 활용할 경우 이 기준은 20% 이상, 10% 이상으로 완화된다.

국내 터빈
국내 터빈 인센티브 / 출처: 연합뉴스

산업부는 “이번 방안은 해상풍력 시장 초기부터 에너지 안보를 고려한 체계적인 보급과 공공 주도의 산업 생태계 구축, 정부 연구개발 성과물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정부가 2030년까지 도입을 목표로 하는 약 14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에는 약 100조 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대규모 개발이 가능한 해상풍력은 1GW 단지 건설에만 6조~7조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책 전환으로 국내 풍력 산업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그리고 실제로 국산 기술이 해외 선진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9

관심 집중 콘텐츠

조선업

“전 세계 줄지어 기다리더니”… 1년 만에 제대로 ‘돈벼락’ 맞았다

더보기
에너지고속도로

“바다 밑에 ‘대형 황금알’이 있다”… 11조 ‘효자 사업’에 업계 ‘기대감 솔솔’

더보기
파리 식당가 와인 바꿔치기

한국인 사랑 듬뿍 받는 여행지인데 “환상이 깨졌다”…‘발칵’ 뒤집힌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