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소문 제대로 탔다”… 해외에서 ‘초대박’ 난 K-전통의 비결

꿀떡부터 뻥튀기까지…
K-간식, 세계 입맛 사로잡다
전통
K-전통 간식의 인기 / 출처 : 연합뉴스

“한국 전통 간식, 이렇게 먹는다고?”

전 세계 SNS에서 꿀떡, 약과, 뻥튀기 등 K-간식의 새로운 레시피가 쏟아지고 있다.

꿀떡에 우유를 부어 먹는 ‘꿀떡 시리얼’부터 뻥튀기에 다양한 토핑을 얹는 모습까지, K-간식은 그 자체로도, 혹은 응용된 형태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제는 국경을 넘어 글로벌 열풍으로 확산되며 전통 간식의 수출길을 넓히고 있다는 해석이다.

전통
K-전통 간식의 인기 / 출처 : 뉴스1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떡, 쌀과자 등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SPC삼립과 같은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꿀떡, 약과 등 다양한 전통 간식의 수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SPC삼립은 특히 미국 코스트코 200여 개 매장에서 약과를 판매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초도 물량 100톤을 선적한 데 이어 추가로 50톤을 수출할 계획이다.

팔도는 비락식혜를 인도네시아 시장에 선보이며 한국 전통 음료의 세계화를 꾀하고 있다.

전통
K-전통 간식의 인기 / 출처 : 연합뉴스

현지 할랄 인증을 획득한 비락식혜는 독특한 맛과 건강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 전통 음료를 현지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할매니얼” 열풍, 세계로 퍼지다

K-간식 열풍의 배경에는 국내에서 유행했던 ‘할매니얼(할머니+밀레니얼)’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전통적인 어른 입맛 간식을 젊은 층이 트렌디하게 소비하면서, 해외에서도 독특한 맛과 응용 방식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전통
K-전통 간식의 인기 /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현지화 전략도 K-간식의 성공 비결 중 하나다. 삼립은 미국 소비자들을 겨냥해 한입 크기로 먹기 편한 ‘한입 꿀떡’을 개발했다.

국산 쌀을 사용한 쫄깃한 떡 반죽에 달콤한 깨소를 넣어 전통성과 맛을 모두 살린 이 제품은 내년 상반기 중 미국, 유럽, 동남아 등으로 수출될 예정이다.

붕어빵, 호빵 등 길거리 간식도 수출 상품으로 거듭나고 있다.

삼립호빵은 미국에서 ‘미니 찜기’와 함께 세트로 판매돼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 호빵의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통
K-전통 간식의 인기 / 출처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K-간식의 세계화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K-컬처의 힘을 등에 업은 전통 간식들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국의 음식 문화가 글로벌 무대에서 더욱 빛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제 K-간식은 단순한 먹거리가 아닌, 한국의 전통과 창의성을 알리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빠른배송

“쿠팡만 주 7일? 우리도 질 수 없다”… 패션업계 휩쓴 ‘트렌드’

더보기
부실기업 임금체불 증가

“못 받은 돈만 500만 원 넘는데”… 이번 달도 위험하다? 근로자들 ‘눈물만’

더보기
토허제

“사두면 돈 된다” 줄줄이 모여들자 말 바꾼 서울시, 달라지는 점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