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은 가벼워졌고 피해는 커졌다
단순한 ‘불참’이 아니라 이제는 ‘범죄’

“그냥 전화 한 통 받았을 뿐인데, 며칠 매출이 통째로 날아가 버렸습니다.”
최근 국내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노쇼(No-show)’ 피해에 대한 하소연이 잇따르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예약만 해놓고 나타나지 않는 행위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사기 수단으로 악용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노쇼’는 약속된 시간과 장소에 아무런 통보 없이 나타나지 않는 행위를 뜻한다.
단순히 한 명이 자리를 비우는 정도로 보일 수 있지만, 예약을 전제로 인력과 재료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 업종에서는 치명적인 손해로 직결된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노쇼로 인한 음식점의 연간 매출 손실은 약 1조 8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뿐 아니라 병원, 고속버스, 공연장 등을 포함한 주요 서비스 업종 전체로 확대하면 매출 손실은 약 4조 5000억 원, 고용 손실은 10만 명을 넘는 수준이다.
유명인 사칭부터 기관 도용까지… 진화하는 ‘노쇼 사기’
최근 들어 단순한 약속 파기에서 나아가, ‘노쇼’를 이용한 고도화된 전화 사기가 등장하고 있다.
경기 수원의 한 음식점에는 자신을 유명 가수의 소속사 직원이라고 밝힌 남성이 전화를 걸어 “콘서트 회식 장소로 쓰고 싶다”고 전했다.
이후 고급 와인을 특정 업체에서 미리 구입해달라고 요구했고, 주인은 3000만 원에 달하는 금액을 송금했다. 그러나 회식은 없었고, 소속사에 확인해보니 그런 요청을 한 적도 없었다.

비슷한 수법은 정치인, 소방관, 방송 관계자 등을 사칭해 단체 식사나 물품 구매를 가장한 뒤 돈만 챙기고 사라지는 형태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수법이 치밀해지면서 자영업자들은 점점 더 속수무책이 되고 있다.
한국외식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외식 자영업자 10명 중 8명(78.3%)이 최근 1년 내 노쇼 피해를 경험했지만, 실제로 법적 대응에 나선 경우는 고작 14.5%에 그쳤다.
대부분은 증거 수집이 어렵고, 고의성 입증이 힘든 탓에 손해를 감수하고 넘기는 실정이다.
이제는 자영업자만의 싸움이 아니다…사회 전체가 나서야
일부 업소들은 이제 예약금 없는 예약은 받지 않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단체 손님의 경우 신분확인과 사전 입금을 필수화하는 방식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려 애쓰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자영업자 개인의 노력으로만 해결될 일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 인식 개선은 물론, 예약 시스템 전반의 제도적 정비와 법적 보완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반복적인 노쇼나 고의적 사기에 대해 강력한 처벌과 함께, 보상체계를 명확히 하고, 업주가 이를 제대로 청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예약금 받아야.
일부는먼저 받아야~~~
전액을 선결제 받아야 합니다. 추후 재정산하면 됩니다.
전액 선결제로 해야지. 돈 욕심에 덜컥 받으면 당하는 거다.
탈북자가 쓴 글을 보니 북한에선 음식점에서 입구에서 선경제해야 한다나. 우리도 선결제 늘지만 이런 대량 예약은 전액 선결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