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마련 위한 대학생 아르바이트 구직 경쟁 심화
저소득층, 국가근로장학금 수혜율 하락
겨울방학을 맞은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구직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저소득층 학생들의 든든한 동아줄이었던 국가근로장학금마저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작 이 제도의 본래 수혜자들은 기회조차 얻기 힘든 상황에 내몰리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예년보다 더 치열해진 겨울방학 알바전쟁
최근 구인구직 포털 알바천국이 대학생 6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7.2%가 새로운 아르바이트를 구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더욱이 응답자의 74.3%는 올겨울 아르바이트 구하기가 작년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생활비와 용돈 마련을 위해 2개 이상의 아르바이트를 뛰겠다는 ‘N잡러’ 대학생도 35.7%에 달했다.
대학가의 로망, 근로장학생
이런 상황에서 대학가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이 바로 국가근로장학생이다.
교내 근로장학생으로 일하는 A 씨는 “공강 시간을 활용할 수 있어 시간 활용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수업 시간과 겹치지 않게 일정을 조절할 수 있고, 특히 교내 근로의 경우 캠퍼스를 벗어날 필요가 없다는 점이 학생들 사이에서 큰 장점으로 꼽힌다.
희망은 멀어지고
하지만 정작 이 제도의 본래 수혜자여야 할 저소득층 학생들의 문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국장학재단 자료에 따르면 기초생활수급자부터 중위소득 이하 학생들의 국가근로장학금 수혜 비율은 2017년 85%에서 2024년 68%로 급격히 하락했다.
반면 중위소득 이상인 7~9구간 학생들의 수혜율은 같은 기간 5%에서 17%로 크게 상승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준혁 의원은 “교내근로 시간당 지원금액이 최저시급과 동일해 저소득층 학생들은 시급이 더 높은 일반 아르바이트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높아진 인기 속 낮은 시급의 이중고에 막힌 동아줄은, 정작 가장 절실했던 이들의 손을 비켜가고 있다.
준혁아! 너거 세비 올릴 돈은 있었고, 근로장학금으로 줄 돈은 없었냐? 허구헌날 국개 월급올릴 생각만하고 있고, 하는 일이란 정쟁밖에 없으니.. 염치도 없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