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없으면 우리도 멈춘다”… 대기업들 왜 이렇게 말 했나 봤더니

반도체부터 배터리까지
“일본 없인 어렵다”는 기업들
한일 경제연합 논의도 다시 떠올랐다
일본
한일 경제협력 확대 / 출처 : 뉴스1

“일본이 빠지면 사업도 흔들린다.”

한국 기업들이 일본과의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지금, 기업들은 기술도, 부품도, 시장도 여전히 일본이 중요한 파트너라고 보고 있다. 최근엔 ‘한일 경제연합’이라는 새로운 구상까지 다시 떠오르고 있다.

기술·시장·부품까지…“함께 갈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 위기 심화
한일 경제협력 확대 / 출처 : 연합뉴스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대기업 10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기업이 “일본과의 협력이 그동안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도움이 컸던 분야로는 일본 기술을 들여오거나 함께 개발하는 일, 일본 시장에 진출해서 사업을 넓히는 일, 관광과 문화 산업 활성화, 그리고 반도체나 부품 등 핵심 물자의 안정적 공급 등이 꼽혔다.

특히 반도체와 인공지능, 바이오와 헬스케어 같은 첨단 분야에서 일본과 협력하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기대가 높았다.

글로벌 공급망이 자주 흔들리는 요즘, 가까운 일본과 손잡는 것이 사업에 든든한 버팀목이 된다는 분위기다.

조사에 응한 기업 10곳 중 6곳은 앞으로도 일본과의 경제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단 3%만이 “굳이 협력할 필요는 없다”고 응답했다.

일본
한일 경제협력 확대 / 출처 : 연합뉴스

협력이 필요한 방식으로는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무역 분쟁에 함께 대응하는 것, 기술 연구나 인재 키우기, 양국 정상 간 교류, 제3국 동반 진출 등이 꼽혔다.

현재 일본과 거래 중인 기업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일본과의 협력을 다른 나라로 바꾸기 어렵다”고 답했다.

바꾼다고 해도 최소 3년은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 말은 곧, 일본이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사업의 필수 조건이 됐다는 뜻이다.

‘한일 경제연합’, 말뿐인 구상에서 현실로?

정치권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지난 17일, 캐나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일본 총리는 경제와 문화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일본
한일 경제협력 확대 / 출처 :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과거 대선 후보 시절에도 “일본과 같은 인접 국가와 손잡고 미국의 거친 통상 전략에 함께 대응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발언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제안한 ‘한일 경제연합’ 구상과도 닿아 있다.

최 회장은 “한국과 일본이 손을 잡으면 더 큰 경제권을 만들 수 있다”며 “기술력과 인구 문제 등 비슷한 고민을 함께 풀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이 구상이 실현된다면 양국 상공회의소가 실무 논의를 맡을 가능성이 크다.

정치와 경제가 동시에 움직이기 시작한 지금, 한일 경제협력은 단순한 과거 회복을 넘어 새로운 미래 구상의 중심으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