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도 외면받는다”…
과학 인재 유출 ‘최대 위기’
“KAIST 지원자가 이렇게 줄 줄은 몰랐습니다.”
이공계 최고 엘리트를 키우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한 4대 과학기술원은 올해 정시 지원자가 지난해 대비 무려 28% 감소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KAIST의 2025학년도 정시 지원자는 1333명으로 전년(2147명) 대비 37.9% 감소했다.
모집 정원이 20명에서 15명으로 줄었지만, 지원자 감소 폭은 이를 훨씬 웃돌아 경쟁률이 107.35:1에서 88.87:1로 하락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각각 25.2%, 23.0%, 22.7% 감소하며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022년 개교한 한국에너지공과대(KENTECH)는 더 심각하다.
개교 당시 953명이던 정시 지원자가 올해는 281명으로 70% 급감했다. 지난해 401명과 비교해도 29.9% 감소한 수치다.
의대 선호 심화, 공대는 뒷전
KAIST뿐만 아니라 서울대와 연세대 등 주요 명문대 자연 계열도 타격을 입었다. 서울대 자연 계열 경쟁률은 4.21:1로 전년 4.63:1에서 하락했다.
연세대 수시 자연 계열 합격자 중 1046명이 등록을 포기한 사례는 충격적이다. 이는 모집 정원(1047명)의 99.9%에 해당한다.
반면 의대 경쟁률은 지난해 3.71:1에서 올해 3.80:1로 소폭 상승하며 의대 선호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올해 의대 정시 지원자는 1만 명을 넘어섰고, 이는 6년 만에 처음이다.
의대 정원 확대와 더불어 의료 계열의 높은 소득과 안정성에 매력을 느끼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이공계 대신 의약학 계열로 몰리게 된 상황이다.
서울권 의대에 몰리는 현상도 두드러진다. 서울권 의약학 계열 지원자는 4629명으로 전년보다 10.7% 증가했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서 치의대, 한의대, 약대까지 덩달아 지원자가 증가하며 전체적인 의대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됐다.
이공계 우수 인재 감소는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전문가들은 “이공계 기피 현상이 지속될 경우, 국가가 R&D(연구개발) 주도권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한 공대 교수는 “R&D 예산 삭감이 이공계 학과들의 경쟁력을 약화시켰다”며, “연구지원과 장학금 제도를 강화해 이공계를 매력적인 선택지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젊은 세대의 이공계에 대한 흥미를 끌어올리기 위한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의대를 확늘려 의대이점을 없애야 대한ㅇ신국이 산다
의대증원에 한표
이. 모든것이 윤석열이가 정치를 못해서 그런거다ㅡR.D를 삭감해야 되것는가ㅡ글고 왜 의대정원수를 증가시키냐???ㅡ큰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