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일냈다”… 1200억 ‘수출 효자’ 등장에 업계 ‘활짝’

K-철도 운영기술, 해외서도 통했다
코레일, 필리핀서 1200억 수주
첫 유지보수 수출…운영까지 맡는다
철도
K-철도의 필리핀 수주 / 출처 : 뉴스1

“설계와 시공만 수출하던 시대는 끝났다.”

한국의 철도 운영 기술이 해외에서 인정받는 시대가 열렸다. 국토교통부는 22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필리핀 마닐라 도시철도 7호선(MRT-7)의 운영·유지보수(O&M)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계약 금액은 약 1200억 원이며, 향후 10년간 코레일은 현지 관리자급 전문가 28명을 파견해 열차 운전과 관제, 역 운영은 물론 차량·시설 유지보수까지 도맡게 된다.

이 사업은 한국이 철도 운영·유지보수 분야에서 해외 시장에 본격 진출한 첫 사례다. 국토부와 코레일이 ‘내셔널 원팀’ 체제로 뛴 결과라는 평가다.

철도
K-철도의 필리핀 수주 / 출처 : 연합뉴스

MRT-7은 총 14개 역, 연장 23㎞로 구성돼 있다. 필리핀 마닐라 외곽에서 중심부를 연결하는 핵심 노선으로, 내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코레일은 2016년부터 MRT-7 운영 자문 사업을 수행하며 장기간 신뢰를 쌓아왔다. 사업 발주처인 산 미구엘사가 지난해 9월 코레일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것도 이 같은 이력 덕분이다.

‘수출’에서 ‘운영’까지…K-철도 확장된다

그동안 한국은 철도차량을 중심으로 한 ‘하드웨어 수출’에 치중해 왔다. 하지만 이번 수주는 운영과 유지보수, 즉 철도의 ‘소프트웨어’ 영역까지 진출한 상징적 사례다.

철도
K-철도의 필리핀 수주 / 출처 : 연합뉴스

백 차관은 “지난해 약 2700억 원 규모의 우즈베키스탄 고속철 차량 수출, 올해 모로코 도시철도 수출에 이어 철도 운영·유지보수 수주까지 이어진 건 큰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K-철도가 해외에서 기획부터 유지까지 책임지는 브랜드가 되도록 정부가 전방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모로코 철도 수주는 차량만 2조 2000억 원 규모로, 역대 최대 금액이다. 전문가들은 차량 수출이 유지보수, 도시개발로 확장되며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진유 경기대 교수는 “MRT-7처럼 철도 수출이 도시 개발로 이어지면 건설업계에도 기회가 된다”며 “특히 운영까지 맡는 사례가 늘어나면 한국 철도 기술 전반의 글로벌 입지도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 계약으로 ‘K-철도’ 뿌리 내린다

철도
K-철도의 필리핀 수주 / 출처 : 연합뉴스

이번 필리핀 수주는 단발성 계약에 그치지 않는다. 코레일은 오는 7월부터 MRT-7 운영 초기 단계에 참여해 실질적인 현지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현지에서 채용된 직원들과 협업하며, 한국형 운영 매뉴얼과 유지보수 기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도 이에 발맞춰, 한국 기업이 해외에서 계획, 설계, 시공, 운영을 아우르는 ‘철도 토탈 패키지 수출’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넓힐 방침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1. 많다는건가
    1ㅇ년에 1200 억.
    별로 아닌가
    따지연 연120억인데
    그속에 유지ㅇ보수 시스템
    장난 아닌데..
    또 최악의 노조새끼들
    주머니 채우는일 이구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