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살기도 힘들다”…
日 장바구니 물가 비상

“마트 갈 때마다 가격이 올라서 부담스러워요.”
일본 소비자들이 치솟는 식비에 한숨을 내쉬고 있다. 지난해 일본에서 가계 소비 중 식비 비율을 나타내는 엥겔계수가 28.3%를 기록했다.
이는 1981년 이후 4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가계의 생필품 부담이 심각해졌음을 의미한다.

소득 대비 식비 부담이 증가한 것은 쌀값, 채소, 육류 등 주요 식재료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일본 총무성이 발표한 ‘2024년 가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30만 243엔(약 286만 원)으로 실질 기준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비 지출은 증가해 엥겔계수가 급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쌀값 상승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일본 대표 브랜드인 니가타산 고시히카리 쌀 도매가격이 한 달 새 35% 급등했고, 폭염, 관광객 증가, 지진으로 인한 사재기까지 겹쳐 전년 대비 20~30% 상승했다.
日·韓 모두 장바구니 물가 비상

일본 경제는 오랜 ‘잃어버린 30년’을 거치며 저성장과 저물가 기조를 유지해 왔다.
여기서 ‘잃어버린 30년’이란 1990년대 초 일본의 거품경제 붕괴 이후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물가와 임금도 정체된 기간을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 물가 상승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해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3년 연속 일본은행의 목표치(2%)를 초과했다. 하지만 실질임금은 4개월 연속 감소하며, 국민들의 체감 경기는 더욱 악화됐다.

일본은행은 물가 상승을 고려해 추가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금리 인상이 소비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어, 일본 경제가 회복세를 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런 현상은 한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를 기록했으며, 소고기, 돼지고기, 채소 등 주요 식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계 부담이 증가했다.
한국의 주요 식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부 가정에서는 외식을 줄이고 대체 식재료를 찾는 등 절약 소비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고물가 속에서 소득이 정체되면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지고, 소비 위축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각국 정부가 임금 상승과 물가 안정 정책을 균형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더 이상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국들의 경제 흐름과 정책 대응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