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로 “빅테크까지 파고 들었다”… 직장인들 어쩌나

AI, 인간을 대체하다?
효율성을 강조하는 기업들의 선택
AI
기업들의 인공지능 도입 / 출처 : 연합뉴스

“우리의 일자리가 AI로 대체되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의 BPER은행과 글로벌 소셜 미디어 기업 틱톡이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대규모 구조조정을 발표하면서 노동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BPER은행은 직원 수를 2027년까지 10% 줄이겠다고 했으며, 틱톡은 전 세계적으로 콘텐츠 모니터링 직원을 해고하고 해당 업무를 AI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도 AI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또 다른 방향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AI, 금융과 기술 업계의 판도를 바꾸다

AI
기업들의 인공지능 도입 / 출처 : 연합뉴스

AI가 노동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금융업이다. 금융업계에서 AI는 이미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올 기술로 꼽히고 있다.

시티그룹 분석에 따르면, 금융 분야에서 AI가 대체할 일자리의 비율은 54%에 달한다.

실제로 BPER은행은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내세웠다.

틱톡 역시 AI로 콘텐츠 모니터링을 자동화하며, 기존 직원들을 해고하는 결정을 내렸다.

AI
기업들의 인공지능 도입 / 출처 : 뉴스1

틱톡은 현재 규정 위반 콘텐츠의 80%를 AI가 처리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정교한 기술로 업무를 대체할 방침이다.

아마존은 AI를 활용한 업무 효율화를 강조하며 또 다른 차원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중간관리직의 축소는 아마존이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다.

모건스탠리는 아마존 인력의 약 7%가 중간관리자에 해당한다고 추정하며, 이들 중 최대 1만 4000명이 해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연간 약 36억 달러(약 5조 1500억 원)의 비용 절감을 의미한다.

AI
기업들의 인공지능 도입 / 출처 : 연합뉴스

컨설팅업체 가트너는 AI 기술이 작업 자동화, 성과 모니터링 등 중간관리자의 주요 업무를 대체할 수 있어, 2026년까지 조직 5개 중 1개가 중간관리직의 절반을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AI 도입의 긍정적인 면만큼이나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AI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절감과 효율 증대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노동자들에게는 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틱톡과 같은 글로벌 기업에서 AI가 콘텐츠 모니터링처럼 민감한 업무를 처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실수와 윤리적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AI
기업들의 인공지능 도입 / 출처 : 연합뉴스

AI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인간과 AI의 공존은 피할 수 없는 주제가 되었다.

전문가들은 AI와 인간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조직 내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삼성물산

“역시 삼성이었다”… 초대형 프로젝트 쟁취, 승부수 통했다

더보기
K-급식

“현지 기업들까지 몰렸다”… 글로벌 시장 뒤흔든 한국 음식의 ‘파격 행보’

더보기
음반 판매량 하락

“잘 나가던 K팝이 어쩌다가”…심상치 않은 분위기, 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