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명이 29억 원어치 승차권 취소
코레일의 허술한 모니터링 드러나

“어쩐지 표 예매가 어려웠다 했더니…”
최근 5년간 단 5명이 29억 원이 넘는 승차권을 구매했다가 취소했지만,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감사원이 발표한 철도 공사 정기감사 결과, 취소 금액 1억 원 이상인 5명이 2019년 5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총 29억 3000만 원어치의 승차권을 구매한 뒤 99.2%인 29억 800만 원어치를 취소했다. 그러나 코레일은 이를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코레일은 승차권을 대량으로 구매 후 취소하는 이용객을 모니터링해 회원 탈퇴 등의 조치를 취해왔다. 하지만 감사 결과, 모니터링의 사각지대가 컸다.

코레일톡(공식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만 감시 대상에 포함됐을 뿐, 홈페이지에서 예매한 고객, 우수회원, 운행일에 취소하거나 하루 전날 취소한 이용객 등은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됐다.
그 결과, 2019년 5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연간 취소 금액 1000만 원 이상, 취소율 95% 이상인 139명 중 16명만 적발됐고 나머지 123명은 감시망을 피해 갔다.
감사원은 이 같은 허점을 시정하라고 코레일에 통보했다.
좌석 부족, 시스템 문제도 심각

승차권 취소 문제와 함께, 좌석 부족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됐다.
2023년 고속철도 이용객은 1억 명을 넘어서며 2019년(9009만 명) 대비 13.7% 증가했지만, 공급 좌석 수는 3.9% 증가에 그쳤다.
이런 현상은 경부·호남·수서고속철도가 만나는 평택~오송 구간의 선로 용량이 포화 상태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현재 2복선화 공사를 진행 중이지만 완공은 2028년 6월로 예정돼 있어 단기간 해결이 어렵다.

승차권 취소가 잦으면 승객들은 표를 구하기 어려워지고, 결국 빈자리를 남긴 채 열차가 운행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코레일은 출발 시각 임박 취소에 대한 위약금 인상을 검토 중이다.
SRT 운영사인 SR은 코레일로부터 추가 고속열차를 임차해 운행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5년간 방치된 승차권 취소 문제와 좌석 부족 문제까지 겹치면서 코레일의 전반적인 운영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감사원은 “철도 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철도 공사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정비하고, 위약금 정책 및 직원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철도 이용객의 권리를 보호하고 국민의 세금이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보다 철저한 감시와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돌대가리 or 업무태만 직원은 짤라야함.
본토중국인
일단 5명은 사형시켜라…그것들이 인간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