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이 안 보이는 상황에 “또 한 곳이 무너졌다”…휘청거리는 ‘이 산업’ 어쩌나

건설업계 부채비율 급등 미분양·PF 부실 등 악재
부도 위기 직면한 기업 증가 등 업계 긴장감 고조
신동아건설
건설업계 파산 위기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또 하나의 중견 건설기업이 부도라니 많이 걱정되네요”

23년 12월 중견 건설업체인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데 이어, 지난 7일에는 서울의 상징적인 건축물이었던 63빌딩을 건설한 신동아건설마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현재 건설업계는 경기 침체, 미분양 물량 증가, PF 부실, 공사비 상승 등 여러 어려움이 겹치면서 많은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상황이 단순한 혹한기를 넘어 빙하기에 가깝다고 표현하며,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매우 힘든 상황에 처해있다고 전했다.

신동아건설
건설업계 파산 위기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건설업계 부채비율 급등

지난 7일 국내 30대 건설사 중 지난해 3분기 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3곳을 전수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11곳이 부채비율 200%를 넘긴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4곳은 부채비율이 400%를 초과했으며, 태영건설(747.7%), 금호건설(640.5%), 코오롱글로벌(559.6%) 등이 대표적이다. 부채비율 200%는 위험 수준으로 간주하며, 400%를 넘으면 잠재적 부실 징후로 판단된다.

건설업계는 미분양 물량 증가와 PF 대출 부실로 악화된 자금 상황에 직면해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미분양 물량은 2022년 이후 위험 신호로 간주되는 6만 가구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분양은 특히 지방에서 심각한 상황으로, 지방 아파트 149곳 중 절반 가까운 73곳이 청약 미달을 기록했다.

신동아건설
건설업계 파산 위기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PF 부실 확대, 공사비 급등 악재 겹쳐

또한 악재는 이뿐만 아니다. PF 부실 위험도 급증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부동산 PF 부실채권 비율은 2021년 말 5.2%에서 2023년 11월 11.3%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공사비 급등으로 아파트 분양 가격이 오르며 수요자들이 이탈하고, 미분양이 늘면서 PF 부실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는 도미노 부도를 우려하게 한다. 신동아건설은 다수의 공동 시공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 협력사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

계룡건설산업은 신동아건설과 공동 시공 중인 검단신도시 아파트 분양에서 청약 부진을 겪으며 사업 방향을 재검토하고 있다.

신동아건설
건설업계 파산 위기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암울한 건설업계 근본적 대책 필요한 시점

국토교통부는 협력업체 피해가 제한적일 것이라며 하도급 대금 지급보증과 직불 계약 체계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불안감이 여전히 남아 있다.

2023년 법인 파산 신청 건수는 1745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으며, 어음부도율도 0.21%로 높아졌다. 건설 외에도 석유화학, 유통, 2차 전지 등 여러 업종에서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조정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올해도 상황이 나아지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24년 건설 투자가 전년 대비 1.4% 감소하고, 내년에는 2.1% 추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 시장뿐 아니라 SOC(사회기반시설) 예산 감소와 설비투자 지연으로 토목 부문도 침체가 예상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익성이 낮은 과거 수주 프로젝트와 경기 침체 속 신규 수주 부진으로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며 “줄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45

  1. 쓸대없이 멀쩡한 땅에 입주도 안되는 지식산업센터 이런건물들만 겁나지으니 텅텅빈곳이 태반.이런것들이 부실로 남으니 당연한결과$$ 부실한기업은 없어져도 된다고봄

  2. 이러누경제가 망가져도 부울경 윤은 같이
    어려운 경제가 부울경에 있는 가업들만 모두 부,ㅐ채가 500%가 되면 얼씨구 누가 좋아할까?

관심 집중 콘텐츠

D램 시장

중국산은 안 될 줄 알았는데 “턱 밑까지 쫓아왔다”… 삼성·SK 대응은

더보기
국제 유가

이미 최고 가격 기록했는데 “더 오른다”…’초비상’ 걸린 이유

더보기
건강보험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건강보험, 형평성 논란 커지는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