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은 세금을 떼고 국장은 원금을 뗀다” 요즘 네티즌들이 국장을 비꼬아 많이 쓰이는 문구다.
최근 미국 주식시장과는 반대로 움직이는 한국 주식시장에 염증을 느끼고 떠나는 개미 투자자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한국 시장의 부실 기업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현재 코스닥 상장사 5곳 중 1곳은 벌어들인 수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좀비기업’ 상태가 3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이런 기업들은 시장 신뢰를 떨어뜨리고 코스닥 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대대적 정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상 최고가를 연일 경신하는 나스닥의 부실 기업 처리 방식을 살펴보면 코스닥과 더욱 대조된다.
2023년 나스닥 시장에서는 395개 기업이 상장폐지되며 상장된 기업(192개)의 두 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에서는 60개 신규 상장 기업 중 단 19곳만 상장폐지됐다. 이 중 자발적 상폐는 6곳뿐이었다.
나스닥은 부실 기업 퇴출을 통해 전체 상장 기업 수가 감소(2021년 3648개 → 2023년 3287개)했지만, 코스닥은 신규 상장이 상장폐지를 크게 웃돌며 기업 수가 증가했다.
부실기업 정리에 소극적인 코스닥은 대외 신뢰도 하락과 투자자 피해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9년 감사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이큐셀은 거래가 정지된 지 4년이 넘었음에도 시장에 남아 있다.
반면, 나스닥은 ‘중국판 스타벅스’로 불렸던 루이싱커피를 매출 부풀리기 혐의로 상폐 처리한 데 이어, 규정을 충족하지 못한 K바이오 기업 피에이치파마도 단 4개월 만에 상장폐지했다.
엄격한 퇴출 기준을 통해 시장 신뢰를 확보한 결과, 나스닥은 2024년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코스닥은 주주 압박을 의식해 퇴출을 미루면서 부실 기업을 양산하고, 이 과정에서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신규 상장 기업만 늘려 코스닥은 3년 새 33%나 추락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시장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상장폐지 기준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코스닥 상장폐지 심사 절차를 기존 3심제에서 2심제로 단축하고, 심사 기간도 4년에서 2년으로 줄일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부실 기업 퇴출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있다.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가 연내 강화된 퇴출 기준을 마련해 시장의 건전성을 회복할 수 있을지, 코스닥이 나스닥처럼 신뢰받는 시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주식장 페쇄가답이다 쓰레기 운영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