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으로 달걀값 폭등한 미국
한국산 달걀,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한국 달걀이 미국으로 간다고?”, “국내산 품질이면 미국에서도 인기 끌겠다”
미국이 한국산 달걀 수입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농무부는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인해 달걀 공급이 부족해지자 한국, 튀르키예, 브라질 등을 주요 수입국으로 지정해 수입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국내에서 처음으로 미국에 수출된 달걀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으며, 추가 수출이 이어질 전망이다.

충남 아산시 계림농장은 이달 초 한국 최초로 특란 20톤(1만 1172판, 약 33만 5000알)을 미국 조지아주로 보냈다.
이는 한국산 달걀이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한 사례로, 향후 수출 물량 확대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미국 농무부 브룩 롤린스 장관은 업계 관계자들과의 통화에서 “미국이 한국에서 더 많은 달걀을 수입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미국 달걀 시장에서 중요한 공급국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미국, 조류인플루엔자 직격탄… 달걀값 급등

미국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2022년부터 확산하면서 달걀 가격이 폭등했다.
미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살처분된 산란계는 1억 6600만 마리에 이르며, 이로 인해 미국 전역에서 달걀 공급이 급감했다.
특히 올해 들어 달걀 한 판 가격이 10달러(약 1만 3000원)를 넘어서며 미국 소비자들은 ‘에그플레이션’(eggflation)에 직면했다.
미국 정부는 달걀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신과 치료제 연구에도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브룩 롤린스 장관은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을 막고 달걀 가격을 낮추기 위해 최대 10억 달러(약 1조 4700억 원)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중 1억 달러(약 1500억 원)는 조류인플루엔자 백신과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이다.
미국 정부는 해당 기금을 백신 제조업체, 연구기관, 주 정부 등에 제공할 방침이다.
미국의 달걀 수입 확대 결정으로 한국의 달걀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한국산 달걀의 미국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면, 국내 농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미국 내 안정적인 수출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국 정부와 업계는 미국 측과 긴밀히 협력해 수출 절차를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산 달걀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이번 기회가 국내 농가의 성장 발판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국내에 계란값 오르겠구만~
수출도 좋지만, 미국에 수출하면 김 오른것 처럼 우리가 먹을 계란 수급도 부족핥텐데 가격만 오르는 꼴 안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