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평균 잔액 9천500만 원 돌파
비은행 연체율도 9년 만에 최고치
“9천500만 원, 빚을 감당하는 게 아니라 빚에 끌려간다.”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대출 잔액이 처음으로 9천500만 원을 넘어섰다.
금리는 치솟았지만 대출 규모는 줄어들 기미가 없다. 이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대한민국 가계 경제의 불안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가계대출, 멈추지 않는 증가세
25일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천505만 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1분기 9천만 원을 돌파한 후 꾸준히 상승해 3년 6개월 만에 500만 원이 추가됐다. 기준금리는 0.5%에서 3.5%로 급등했음에도 대출 증가세는 꺾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 2분기부터 5분기 연속으로 대출 잔액이 늘어나며 상승 속도가 더 빨라졌다.
가계대출 차주 수는 1천974만 명으로, 전 분기보다 소폭 증가하며 4분기 만에 반등했다.
비은행 연체율, 9년 만에 최고치
비은행권 대출 연체율은 더욱 심각하다. 올해 3분기 2.18%로, 지난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조합 등 비은행권의 대출 비중이 높아지며 연체율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반면, 은행권의 연체율은 0.36%로 안정세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은 비은행 대출 증가가 연체 가구의 확대를 가속화할 수 있다며 경고하고, 이에 대한 관리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금리 시대, 대출자의 생존 전략은?
고금리 시대에 접어들면서 대출자들이 느끼는 부담은 더욱 커졌다.
이자 상승으로 소비 여력이 줄어들었고, 특히 30~40대 영끌족과 자영업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출 관리를 위해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전환하거나 금리인하요구권을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여러 대출을 통합 관리하고, 금리가 높은 대출부터 우선 상환하는 방식으로 부담을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촘촘한 대책 마련 시급”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은 “가계대출이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급증하는 대출 잔액과 연체율은 단순한 금융 문제가 아니다.
이는 대한민국 가계 경제가 처한 현실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개인의 대처가 절실하다.
외제차많이굴러다니는데전부빚내서똥폼들잡고다니는모양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