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자 년 걸려 풀 문제를 5분 만에 해결한다.”
지난 9일(현지 시각) 구글이 개발한 초고성능 양자컴퓨터 ‘윌로우’의 등장에 가상자산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비트코인의 암호화 체계가 뚫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각종 알트코인의 가격이 하락세를 맞이한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반론했지만 변동성이 더 확대되는 분위기다.
지난 10일 비트코인 가격은 4% 가까이 하락하며 9만4300달러(약 1억3천 5백만원)선까지 밀렸었다.
또한, 이더리움을 비롯한 리플, 도지코인 등 알트코인도 일제히 하락하며 암호화폐의 장점인 보안성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 이유는 전통적인 슈퍼컴퓨터로는 10자 년(10의 25제곱)이 걸리는 연산을 단 5분 만에 해결할 수 있다는 구글의 발표가 시장을 뒤흔든 것이다.
‘윌로우’는 105개의 큐비트를 탑재한 최신 양자컴퓨터 칩으로, 기존 컴퓨터가 0과 1이라는 이진수로 문제를 해결한다면, 양자컴퓨터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이용하는 큐비트로 연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인해 비트코인의 보안 체계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비트코인의 핵심 보안 체계인 ‘시큐어 해시 알고리즘-256(SHA-256)’이 양자컴퓨터에 의해 해독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암호화 함수가 뚫리면 비트코인 네트워크 전체가 손상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암호화폐 전문가들은 이러한 우려가 아직은 이르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월스트리트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윌로우가 양자컴퓨터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이긴 하지만, 비트코인의 기반 알고리즘인 ECDSA나 SHA-256을 해독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라고 평가하며, “양자 기술이 비트코인을 위협할 수 있지만, 이는 최소 수십 년 후의 일”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현재 비트코인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컴퓨팅 네트워크 중 하나”라며 “새로운 암호화 기술 개발로 양자컴퓨터의 위협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 시장에 새로운 위협이 될 수도 있는 양자컴퓨팅 기술이 등장한 만큼 투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아직이르다는소리는 그암호를 풀기엔 지금 관리가능한큐비트수가 125개이고 수만개로 늘리기엔 기술력의 한계에 봉착해있고 그것이 가능할지 안할지 알수없다 다만 가능성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