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만 무성하더니 “드디어 현실되나”… 삼성 따라한다는 애플, 어쩌나

애플, 접는 노트북·아이폰과 초박형 아이폰 개발중
내년 ‘초박형’, 내후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추진
애플

“접는 아이폰이 나온다.” 그간 무성했던 소문이 드디어 현실이 될 전망이다. 애플이 내년 초박형 아이폰과 내후년 폴더블 아이폰과 노트북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예상보다 다소 늦은 행보지만 삼성전자가 선점하고 있던 폴더블폰 시장에 애플이 등장하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판도는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술적 완성도를 강조해온 애플이 출시할 폴더블 아이폰으로 어떤 ‘반격’을 보여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애플, 2026년 2개 종의 폴더블폰 출시 추진

애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애플이 접는 스마트폰 ‘폴더블 아이폰’과 노트북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을 통해 15일(현지시간) 보도됐다.

신제품 계획에 정통한 소식통들에 따르면 애플은 두 가지 폴더블 기기와 함께 초박형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우선 폴더블 기기 중 하나는 화면을 펼치면 19인치 데스크톱 모니터급으로 확장되는 대형 기기다. 이는 휴대성을 극대화하면서 노트북과 데스크톱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적인 형태다.

또 다른 하나는 폴더블 아이폰으로, 아이폰 16 프로 맥스보다 큰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한 손에 쥘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yonhapnews-3-1024x683.jpg입니다
출처 – 연합뉴스

이와 함께 내년에 출시될 초박형 아이폰은 기존 8mm 두께에서 더 얇아진 디자인이 특징이다. 카메라 시스템을 간소화하면서도 애플의 고유한 세련미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애플의 행보를 두고 “침체된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적 변화”라고 분석한다.

최근 몇 년간 애플은 성능 면에서는 꾸준한 발전을 보였지만 디자인 측면에서는 다소 정체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빠른 칩과 개선된 카메라 등 ‘사소한’ 업그레이드만으로는 사용자의 기기 교체 주기를 단축하기 어려웠다.

애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애플이 폴더블 기기 시장에 뛰어드는 시점도 주목할 만하다. 삼성전자가 2019년 갤럭시 폴드를 선보이며 시장을 개척했지만, 후발 주자들의 등장과 기술적 한계로 인해 폴더블폰 시장은 아직도 ‘미완의 대기’로 평가된다.

애플은 이러한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극대화한 제품으로 ‘한 방’을 노리고 있다. WSJ는 “애플이 폴더블 제품 출시를 미룬 이유는 내구성과 주름 문제 때문이었다”며 “이제 그 기술적 난제를 해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기대감은 벌써부터 뜨겁다. 업계 관계자들은 애플의 접근 방식이 삼성 갤럭시Z 시리즈와 다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접었을 때도 기존 바형 스마트폰과 큰 두께 차이가 나지 않는 디자인이 주요 포인트다. 일각에서는 애플이 새로운 특허를 통해 기기를 바닥에 떨어뜨리면 자동으로 접혀 파손을 막는 기술까지 확보했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애플
출처 – 게티이미지

애플의 폴더블폰 진출은 삼성전자에게 양날의 검이다. 삼성은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후발 주자들의 추격이 거세다.

올해 3분기 기준 삼성전자는 56%의 시장점유율로 여전히 1위를 지켰지만, 출하량은 전년 대비 21%나 감소했다.

중국 샤오미, 화웨이, 모토로라 등이 무서운 속도로 따라잡고 있는 상황에서 애플의 진입은 삼성에게 가장 큰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과 초박형 제품 출시는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하고 있다. 기술적 완성도와 디자인 혁신에 중점을 둔 애플의 도전은 삼성전자와의 치열한 경쟁을 불러올 전망이다.

이번 경쟁이 시장 확대와 기술 발전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기존 강자의 시장 점유율이 무너지게 될지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4

관심 집중 콘텐츠

삼성물산

“역시 삼성이었다”… 초대형 프로젝트 쟁취, 승부수 통했다

더보기
K-급식

“현지 기업들까지 몰렸다”… 글로벌 시장 뒤흔든 한국 음식의 ‘파격 행보’

더보기
음반 판매량 하락

“잘 나가던 K팝이 어쩌다가”…심상치 않은 분위기, 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