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어깨를 나란히
한국, 새로운 도약을 노리다

“어느새 일본이 바로 눈앞이다.”
올해 1~11월, 한국의 대세계 수출액은 6,223억 달러를 기록하며 일본(6,425억 달러)과의 격차를 역대 최저로 좁혔다.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양국 간 수출 격차는 3,000억 달러 이상이었다.
하지만 한국은 반도체, IT, 화장품 등 첨단 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며 이 같은 성과를 냈다.

반면, 일본은 주요 산업인 자동차와 조선, 중간재 등에서 한국과 중국의 도전으로 고전하고 있다.
해외 생산기지가 늘어나면서 ‘메이드 인 재팬’ 제품의 경쟁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IT 강국으로의 도약, 일본을 넘어설 가능성은?
한국의 수출 성과는 IT와 반도체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글로벌 시장에서 반도체와 고부가가치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특히, 화장품과 바이오헬스 분야의 약진도 돋보인다. K-콘텐츠와 연계된 K-뷰티는 아세안과 중동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한국 수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수출 성장이 일본을 바짝 뒤쫓을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인은 시장 다변화다.
올해 한국은 필리핀, 태국 등 신흥 시장과의 경제 협력체제를 강화하며 새로운 수출 루트를 개척했다.
필리핀과의 FTA 발효로 자동차 수출 관세가 즉시 철폐되면서 향후 15년간 약 3,000억 원의 수출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일본과의 격차를 좁힌 데 만족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엔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 제조업 기반이 약화되면서 수출 둔화가 이어지고 있지만, 한국도 비슷한 도전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한국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기술력 강화와 신흥시장 개척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한국의 양대 수출 시장이 동시에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첨단 기술 제품과 고부가가치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구조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은 일본과의 수출 격차를 줄이며 글로벌 수출 강국으로 한발 더 나아갔다.
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신흥시장 공략을 강화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위기는 기회”라는 말처럼, 한국은 이번 성과를 발판 삼아 글로벌 경제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다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는 개판인데 수출은 선방하고 있구만 그래. 여의도 저것들을 어쩌면 좋노?
미친놈들 틈에서 그나마 다행이네요
야당의 형태로는 어림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