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들마저 가담하는
믿었던 금융기관의 불법 대출과 횡령

“무엇보다 신뢰가 중요한 곳이 바로 금융기관인데, 이래서 어떻게 믿고 맡기겠어요?”, “다른 사람도 아니고 임원들도 동조했다는 게 충격적이네”
최근 금융업계 내부에는 도덕성 문제와 내부 통제 시스템의 미비가 대두되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불법 대출과 대규모 횡령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는 933억 원 규모의 불법 대출 사건에 임원까지 연루되어 큰 충격을 주었다.
해당 사건에서는 지점 전 임원이 부동산 담보가치를 고의로 부풀려 대출을 허용하고, 대출금의 일부를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대출 과정에서 모집된 명의대여자들은 불법 대출에 가담했으나, 이들이 얻은 혜택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대출금의 부담을 떠안게 되었다.
경찰은 현재까지 주범을 포함해 109명을 검거했으며, 이를 통해 약 113억 원의 범죄 수익금을 압수했다.
또한, 지난 5년간 금융사범 전력이 적발돼 퇴임한 새마을금고 임원만 26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새마을금고 임원 중 결격사유가 적발돼 퇴임한 임원 61명 중 42.6%는 금융사범이라는 뜻이다.

행정안전위원회 소속의 위성곤 의원은 새마을금고의 경영진 관리가 허술하다고 지적하며, 감독 부처를 행정안전부에서 금융위원회로 이관하여 더욱 철저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융기관이 갖추어야 할 도덕성과 책임감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커지고 있다.
외부 신고를 통해서만 밝혀지는 횡령, 괜찮을까?
이와 함께 NH농협은행에서는 고객 예금을 횡령한 사건까지 드러나면서 다시 충격을 안겼다.

지난 24일, 업계에 따르면 울산의 한 지점 계장이 70대 고객의 예금 약 2억 5000만 원을 횡령했다.
그러나 이 역시 내부 감사가 아닌 고객 가족의 신고를 통해 밝혀졌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금융기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비위 행위가 내부 통제 부실로 인해 수개월간 감춰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지난 8월까지 농협에서 발생한 횡령 및 배임 사고는 총 35건으로, 사고 금액만 339억 원이 넘는다.

이에 대해 농협은행은 매년 금융사고 방지를 위한 교육과 내부 시스템 강화를 추진해 왔다고 하지만, 이러한 조치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금융권에서 발생하는 연이은 비위 사건은 고객의 신뢰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금융업계 전반의 투명성과 윤리성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