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록3’ 공개, AI 시장에 도전장
스페이스X·테슬라 AI 통합 가능성

일론 머스크가 인공지능(AI) 시장에 새로운 반전을 만들어냈다.
그의 AI 스타트업 xAI는 ‘그록(Grok) 3’를 공개하며 생성형 AI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그록3를 공개했다.
그록3는 엔비디아의 H100 GPU 10만 개를 활용한 슈퍼컴퓨터 ‘콜로서스’에서 2억 시간 동안 학습한 모델이다.

특히, 기존 AI 모델보다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머스크는 AI 연구자들을 위한 도구 ‘딥서치(DeepSearch)’도 함께 발표했다.
딥서치는 연구원과 과학자들이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AI 에이전트로, 경쟁사 오픈AI의 ‘딥리서치’와 직접적으로 비교된다.
머스크는 그록3의 성능을 강조하며, AI 시장의 강자들과의 비교 데이터를 공개했다.

미국 수학 경시 대회(AIME) 2024문제를 AI 모델에 적용한 결과, 그록3는 52%의 정답률을 기록했다. 반면, 딥시크의 V3는 39%, 앤스로픽의 클로드 3.5 소네트는 26%에 머물렀다.
과학 관련 벤치마크 GPQA에서도 그록3는 75%의 정답률을 보이며 GPT-4o(50%)와 딥시크 V3(59%)를 뛰어넘었다.
머스크는 이 데이터를 근거로 그록3가 현재 출시된 AI 모델 중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고 주장하면서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머스크의 AI 전략, 스페이스X·테슬라와 통합될까?

머스크는 그록3를 자신이 운영하는 여러 사업과 연결할 계획도 내비쳤다.
그는 “그록 AI는 2년 내로 스페이스X에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AI가 로켓 발사 시스템, 항법, 우주 탐사 등에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에도 그록 AI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에 AI의 역할을 강조해 왔으며, 그록3가 향후 테슬라 차량의 AI 운전 보조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AI 전문가들은 머스크의 이러한 접근 방식이 기존 AI 기업들과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평가한다.
단순히 텍스트 기반 챗봇을 넘어, AI를 실질적인 산업 기술에 접목하려는 시도이기 때문이다.
AI 시장에서는 일론 머스크와 오픈 AI의 CEO인 샘 올트번 사이의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록3가 실제로 챗GPT를 위협할 만큼의 성능을 보여줄지, 그리고 머스크의 AI 전략이 테슬라와 스페이스X를 통해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주목된다.
대단하다 머스커는
머스크도 끝인가 압도하질 못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