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만들었다더니 “이럴 줄 알았지”…정부도 민간도 ‘비상’

중국 AI ‘딥시크’ 과도한 정보수집 논란 확산
정부부처-대기업들 잇따라 사용 제한 조치
호주·일본 등 해외서도 위험성 경고
딥시크
딥시크 개인정보 수집 논란 / 출처: 연합뉴스

중국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가 이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긴급 대응에 나섰다.

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주요 정부부처와 대기업들이 잇따라 딥시크 사용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정부, 민감정보 유출 우려에 선제 대응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딥시크
딥시크 개인정보 수집 논란 / 출처: 연합뉴스

이들 부처는 외교·통상 분야의 기밀 정보를 다루는 특성을 고려해 선제적 조치를 취했다.

행정안전부는 3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처리 방법 등에 대한 질의서를 보냈으나, 아직 회신을 받지 못한 상태다.

민간기업도 잇따라 사용 금지령

딥시크
딥시크 개인정보 수집 논란 / 출처: 연합뉴스

카카오는 국내 대형 IT기업 중 처음으로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전면 금지했다.

LG유플러스도 사내망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직원 개인 PC에서도 사용 자제를 권고했다.

원자력 기술을 다루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1일부터 사내 업무망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삼성전자, SK,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은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어 외부 프로그램 사용이 원천적으로 제한된 상태다.

딥시크
딥시크 개인정보 수집 논란 / 출처: 연합뉴스

글로벌 공조 움직임 확산

딥시크의 위험성은 전 세계적으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호주, 일본, 대만, 미국 텍사스주는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으며, 이탈리아는 앱 마켓에서 완전히 차단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딥시크는 이용자의 기기 정보, IP 주소,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딥시크
딥시크 개인정보 수집 논란 / 출처: 연합뉴스

업계 전문가들은 딥시크 등장 이전부터 중국산 AI 모델에 대한 불신이 컸다고 지적한다.

“생성형 AI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마련해 둔 상황이었다”며 “특히 중국산 AI 모델에 대한 불신이 큰 상태여서 기업에서 사용을 허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한 업계 관계자는 전망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