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원전 수주, 24조 원 규모…
막바지 협상 앞두고 총력전 펼친다

이르면 이달 중순, 한국과 체코 간 24조 원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사업 최종 수주 여부가 판가름 날 전망이다.
이번 수주가 성사될 경우, 한국 원전 기술이 유럽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며 경제적으로도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체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1만여 명의 인구 유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두코바니 지역에 건설될 신규 원전으로 인해 주택 수요 증가와 신규 기업 설립도 예상되며, 건설 및 무역 산업이 큰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한수원은 체코전력공사(CEZ)와 막판 협상을 벌이며 최종 계약 체결을 준비 중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주요 걸림돌이 대부분 해결되었기 때문에 계약이 무리 없이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큰 이슈였던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이 지난 1월 극적으로 타결됐다.
이는 한수원이 미국 원전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한국형 원전(APR1000)에 대해 웨스팅하우스가 원천 기술 소유권을 주장하며 수출을 막으려 했던 문제다.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는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하면서, 체코 원전 사업 추진에 있어 더 이상 장애물이 없게 됐다.
또한, 체코 정부가 원전 건설 자금을 자체 조달하는 방안을 유럽연합(EU)에 제출하면서 한국의 금융지원 논란도 해소됐다.
체코 산업부는 EPC(설계·구매·건설) 계약 체결 후 현지 기업 참여율을 60%까지 보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가 EU 경쟁법에 위배될 가능성이 있어, 실제 계약에서는 확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국내 원전 업계는 현지화율이 높아지더라도 원전 수출의 경제적 가치가 크게 훼손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의 기자재와 기술력이 프로젝트의 핵심을 차지하는 만큼, 수익성 확보는 여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원전 수출, 외교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
원전 사업은 단순한 플랜트 건설을 넘어 외교 전략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원자로가 한 번 건설되면 유지·보수, 핵연료 공급 등이 60년 이상 지속되기 때문에, 원전 수출국과 수입국 간 장기적인 협력 관계가 형성된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가 확정되면, 한국 역시 유럽 시장에서 원전 강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또한, 체코 정부가 추가 원전 건설을 검토 중이어서 향후 추가 수주 가능성도 높다.
한국 정부와 한수원은 막판 총력전을 펼치는 가운데, 협상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미화같은 빈깡통이 위원장이었다니 금시초문이지만 크게한번웃습니다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