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6일로 늘어나자 소상공인들 매출 감소 우려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 내수 진작 효과 의문 제기
연휴 기간 영업 손실과 인건비 부담 가중될 듯

“돈 벌 기회가 왔다” 싶었던 설 연휴 특수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최대 9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가 기다리고 있지만, 도심 상권은 한숨 소리만 깊어지고 있다.
직장인들의 해외여행 계획과 회사들의 휴무로 도심 상권이 텅 비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대와 다른 현실

지난 8일 정부는 비상경제 안정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내수 경기 진작을 위해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현대경제연구원이 2020년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하루 임시공휴일 지정 시 전체 소비지출이 약 2조 4000억 원, 생산유발액이 4조 8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소비자들의 발길은 해외로 향하고 있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기간 해외여행 수요는 전년 대비 73.1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로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의 분석 결과, 설 연휴 시작일인 1월 25일 기준 예약된 상품 수는 전년 동기 대비 84.2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공휴일 지정이 내수 진작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실효성 의문도 제기된다.
지난해 10월 2일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을 당시, 해당 연휴가 포함된 10월의 국내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은 2.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의 이중고
이런 상황에서 도심 지역 자영업자들은 설 연휴 기간 동안 영업 중단을 고민하고 있다.

한 언론사 취재에 따르면 17일 만난 자영업자들은 “직장인들이 해외나 지방으로 떠나면서 상권이 사실상 마비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특히 설 연휴 전날인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손실 규모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의도의 한 음식점 주인은 “하루 인건비와 임대료, 관리비 등 고정지출만 60만~70만 원이 나간다”며 “31일까지 휴무하는 대기업들이 많아 매출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정부 대책 마련 시급

이에 류필선 소상공인연합회 전문위원은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발표한 숙박 쿠폰 100만 장 배포, 온누리상품권 할인 등 정책들이 실효성 있게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일시적인 임시공휴일 지정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의 고물가, 고금리 상황에서 임시공휴일 지정만으로는 내수 부진 해결이 어려우며, 국내 소비 촉진을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억울하면 윌급쟁이 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