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반기는 줄 알았는데” 오히려 ‘독’ 됐다? 소상공인 ‘한숨’

설 연휴 6일로 늘어나자 소상공인들 매출 감소 우려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 내수 진작 효과 의문 제기
연휴 기간 영업 손실과 인건비 부담 가중될 듯
임시공휴일
임시공휴일 소상공인 / 출처: 연합뉴스

“돈 벌 기회가 왔다” 싶었던 설 연휴 특수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최대 9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가 기다리고 있지만, 도심 상권은 한숨 소리만 깊어지고 있다.

직장인들의 해외여행 계획과 회사들의 휴무로 도심 상권이 텅 비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대와 다른 현실

임시공휴일
임시공휴일 소상공인 / 출처: 연합뉴스

지난 8일 정부는 비상경제 안정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내수 경기 진작을 위해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현대경제연구원이 2020년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하루 임시공휴일 지정 시 전체 소비지출이 약 2조 4000억 원, 생산유발액이 4조 8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소비자들의 발길은 해외로 향하고 있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기간 해외여행 수요는 전년 대비 73.1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로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의 분석 결과, 설 연휴 시작일인 1월 25일 기준 예약된 상품 수는 전년 동기 대비 84.2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공휴일
임시공휴일 소상공인 / 출처: 연합뉴스

임시공휴일 지정이 내수 진작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실효성 의문도 제기된다.

지난해 10월 2일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을 당시, 해당 연휴가 포함된 10월의 국내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은 2.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의 이중고

이런 상황에서 도심 지역 자영업자들은 설 연휴 기간 동안 영업 중단을 고민하고 있다.

임시공휴일
임시공휴일 소상공인 / 출처: 연합뉴스

한 언론사 취재에 따르면 17일 만난 자영업자들은 “직장인들이 해외나 지방으로 떠나면서 상권이 사실상 마비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특히 설 연휴 전날인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손실 규모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의도의 한 음식점 주인은 “하루 인건비와 임대료, 관리비 등 고정지출만 60만~70만 원이 나간다”며 “31일까지 휴무하는 대기업들이 많아 매출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정부 대책 마련 시급

임시공휴일
임시공휴일 소상공인 / 출처: 연합뉴스

이에 류필선 소상공인연합회 전문위원은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발표한 숙박 쿠폰 100만 장 배포, 온누리상품권 할인 등 정책들이 실효성 있게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일시적인 임시공휴일 지정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의 고물가, 고금리 상황에서 임시공휴일 지정만으로는 내수 부진 해결이 어려우며, 국내 소비 촉진을 위한 실질적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9

관심 집중 콘텐츠

빠른배송

“쿠팡만 주 7일? 우리도 질 수 없다”… 패션업계 휩쓴 ‘트렌드’

더보기
부실기업 임금체불 증가

“못 받은 돈만 500만 원 넘는데”… 이번 달도 위험하다? 근로자들 ‘눈물만’

더보기
토허제

“사두면 돈 된다” 줄줄이 모여들자 말 바꾼 서울시, 달라지는 점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