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는 곳만 1.3만 곳”…
거래 끊기자 공인중개사 줄폐업

서울 강북구에서 10년 넘게 공인중개업소를 운영하던 A 씨는 결국 가게 문을 닫았다.
지난해 여름부터 매매 거래는 물론 전월세 계약조차 뜸해지면서 월세와 운영비를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A 씨는 “한 달 내내 계약 한 건 없이 지나가는 날이 허다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공인중개업소들의 폐업이 줄을 잇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매매와 전월세 거래가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폐업한 공인중개업소는 1만 3000곳을 넘어섰다. 이는 하루 평균 40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같은 기간 신규 개업한 중개업소는 769곳에 불과해, 업계를 떠나는 사람이 유입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부동산 거래가 줄면서 일부 공인중개사들은 다른 길을 모색하고 있다. 법원 경매 대리, 부동산 컨설팅 등 새로운 수익원을 찾아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수도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시험에는 약 15만 5000명이 응시했는데, 이는 2022년(26만 4000명) 대비 11만 명가량 줄어든 수치다.

응시자가 줄자 합격자 수도 감소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2만 6000여 명, 2만 7000여 명이 합격했지만, 지난해 합격자는 1만 5000명에 불과했다.
“거래 늘어야 살 길 열린다” 전망도 불투명
전문가들은 공인중개사들의 어려움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경제적 불확실성이 맞물려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거래량이 회복되지 않으면 폐업하는 공인중개사들이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빠른 시일 내에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심형석 우대빵 부동산연구소장은 “정부가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매수세가 더욱 위축됐다”며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찾지 못하면 중개업소의 줄폐업 사태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도 거래 절벽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 속에 공인중개업소들은 또 한 번의 시련을 맞고 있다.

한편, 정부는 최근 중개업소 지원 방안을 논의 중이지만, 시장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는 크지 않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고민하고 있다”면서도 “단기적인 정책보다는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선심성으로 개정한 중개보수가 공인중개사들의 수입을 절벽으로 몰아넣엏다고 본다. 외국의 1/3 수준인 중개보수를 현실화 해야 생업을 유지해 갈수 있다고 본다.
정부가 선심성으로 개정한 중개보수가 공인중개사들의 수입을 절벽으로 몰아넣었다고 본다. 외국의 1/3 수준인 중개보수를 현실화 해야 생업을 유지해 갈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