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러 온 일본인들? “이상징후 포착 됐다”…초유의 사태에 ‘결국’

일본 쌀값 폭등에 ‘쌀 관광’ 급증
정부 비축미 방출에도 가격 안정 실패
한국도 타산지석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서울에서의 미션은 쌀을 사서 돌아가는 것”이라는 일본인들의 후기가 소셜미디어를 달구고 있다.

일본에서 쌀 한 공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가운데, 한국 마트에서 쌀을 구매해 귀국하는 일본인 관광객들이 늘고 있다.

일본의 ‘쌀 대란’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 문제로 번지면서 일본 정부까지 비상에 걸렸다.

‘쌀 관광’ 등장시킨 일본의 기록적 쌀값 폭등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일본에서는 쌀 10kg이 약 8만 원인데, 한국은 3만 원 수준이에요.” 최근 서울을 방문한 일본인 A 씨는 자신의 SNS에 쌀 구매 경험을 공유했다.

그는 인천공항 검역소에 신고한 뒤 오사카로 돌아갔는데, “쌀이 무거워서 근육 트레이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고군분투 귀국기를 전했다.

이 같은 사례는 우연이 아니다. 일본 농림수산성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일본 내 쌀 5kg 평균 가격은 4,206엔(약 4만 2천 원)으로, 1년 전의 2배를 넘어섰다.

한국의 쌀 5kg 소매 가격이 2만 원 초반대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차이 나는 셈이다.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이러한 가격 차이 때문에 SNS에는 “한국 쌀값은 일본의 절반이다”, “많은 사람들이 쌀을 기념품으로 사서 돌아가고 있다”는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21만 톤 쌀 부족 미스터리’로 번진 일본의 쌀 대란

이처럼 일본인들이 한국에서 쌀을 사 가는 이유는 자국의 심각한 쌀 부족 현상 때문이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 2월 일본 내 60kg 기준 햅쌀 거래값이 2만 5927엔(24만 8천 원)으로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이 같은 가격 폭등의 배경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생산 조정 정책과 농촌 노동력 감소, 비료값 인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지난해 니가타, 이시카와, 야마가타, 후쿠시마 등 주요 쌀 생산지에서 발생한 폭우와 이상기온으로 인한 피해가 상황을 악화시켰다.

더 큰 문제는 정부의 대응이다. 와타나베 요시아키 니가타식량농업대학 명예학장은 “과거 수만 명에 이르던 쌀 통계조사원이 예산 문제로 크게 줄어 현재는 매우 작은 표본으로 전체 쌀 생산량을 추측하고 있다”며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온라인 직거래 증가 등 쌀 유통 구조의 변화를 정부가 제때 파악하지 못한 점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결국 일본 농림수산성은 애초 “쌀 공급은 부족하지 않다”는 입장을 철회하고 정부 비축미 21만 톤 방출 방침을 확정했다.

이는 밥 한 공기 기준으로 29억 그릇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은 “지난 반년간 왜 더 빨리 비축미 방출 결정을 못했는지에 대한 비판은 달게 받겠다”고 사과의 뜻을 전했다.

한국도 타산지석 삼아야 하나, “상황이 달라”

이러한 일본의 쌀 대란을 바라보며 한국도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대규모 벼 재배면적 감축 정책을 추진 중인 한국 정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일본 가족농운동전국연합회의 오카자키 슈시 국제부장은 “일본 정부의 쌀 감산 정책이 작은 충격에도 쌀 부족과 급격한 가격 변동을 초래했다”며 한국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제안한 8만ha 감축은 일본에서 발생한 쌀 대란으로 직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일본의 민간 쌀 재고량은 2024년 6월 말 기준 156만 톤으로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며 위기를 증명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이러한 우려를 일축했다.

일본
일본 쌀값 폭등 / 출처: 연합뉴스

두 기관은 “일본의 쌀값 급등은 일시적인 수요 증가와 유통 정체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일본과 달리 유통 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유통 흐름과 재고량 파악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더 나아가 농식품부는 “우리나라는 쌀 소비가 매년 가파르게 감소하여 매년 초과 생산량이 20만 톤 이상 발생하는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라며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벼 재배면적 감축은 쌀값과 농가소득 안정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결국 일본의 쌀 대란은 식량 안보와 직결된 정책 결정에 신중함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37

  1. 일본이 쌀 수입 못하는 이유가 관세 700프로임ㅋㅋ 수입쌀이 자국 쌀이랑 비슷하거나 비싸짐

관심 집중 콘텐츠

에너지고속도로

“바다 밑에 ‘대형 황금알’이 있다”… 11조 ‘효자 사업’에 업계 ‘기대감 솔솔’

더보기
파리 식당가 와인 바꿔치기

한국인 사랑 듬뿍 받는 여행지인데 “환상이 깨졌다”…‘발칵’ 뒤집힌 이유

더보기
한화 대미 라인

미국서 ‘러브콜’ 날아들더니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 한화 행보에 ‘눈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