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속 주목받는 한국 조선 기술
2~3년 전 받은 일감이 실적으로 반영
고부가 선박 전략이 만든 ‘조용한 반격’

“중국 대신 한국으로 가자.”
조선업계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수주 선박 수백 척이 한국 조선소 인도 순서를 기다리는 가운데, 국내 조선 3사는 수주잔고 200조 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호황기 수주, 이제 실적으로 반영되는 시기
조선소는 선박을 수주하면 즉시 돈을 받는 것이 아니라, 배를 다 만들어 넘길 때 비로소 실적으로 인식된다.

지금 조선업계의 수익이 급증하고 있는 건 2~3년 전 호황기에 미리 수주했던 고가 선박의 인도가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HD한국조선해양의 경우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436.3% 뛰었고, 한화오션은 388.8% 증가했다.
삼성중공업 역시 영업이익이 58% 올랐다. 이는 단기 반짝 실적이 아니라, 앞으로 몇 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큰 흐름이다.
한국 조선사들은 중국처럼 싸고 빠른 배를 대량 생산하는 대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나 초대형 유조선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을 선택적으로 수주해 왔다.

단가가 비싼 이 배들은 계약금보다 인도대금이 훨씬 큰 구조라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게다가 최근 몇 년 동안 신조선 가격이 계속 오르고 환율도 높게 유지돼, 같은 배를 만들어도 조선소 입장에서는 더 많이 벌 수 있는 구조가 됐다.
한국 조선업, 미국 통상 외교의 지렛대 되다
가장 흥미로운 변화는 미국발 무역 갈등이다. 미 무역대표부는 10월부터 중국산 선박에 추가 비용을 물리기로 했다. 이에 부담을 느낀 글로벌 해운사들이 조선 발주처를 중국에서 한국으로 돌리는 흐름이 나타났다.

수십 척에서 수백 척에 달하는 이 선박들이 국내 조선소에 줄을 서면서 수주잔고는 192조 원을 돌파했고, 연말이면 200조 원도 무난히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수주잔고는 곧 매출로 이어지는 미래 먹거리다.
최근 미국과 한국은 조선업 분야에서도 전략적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미국이 자국 내 스마트 조선소 구축과 기술 인력 양성을 한국에 요청한 사실은 국내 조선업이 단순한 산업을 넘어 외교 카드로도 주목받고 있다는 신호다.
트럼프 대통령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국의 선박 건조 능력을 높이 평가한다”며 협력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 중심의 조선 공급망에서 한국이 빠져나와 고급 기술력에 집중한 결과”라며, “앞으로 특별한 변수만 없다면 2~3년간 호실적이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수치보다 중요한 건 ‘믿고 맡길 수 있는 조선소’라는 신뢰다. 전 세계의 시선이 한국 조선소에 쏠린 지금,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국뽕코너냐?
중국이 전세게 1위이다
기술력도 생산력도
최고이다
결국에는 중국하청 업체가
될것로본다
모처럼 좋은 소식이네요~
중국이 물량빨이니1위하지
정부가 간섭 안하면 조선3사가 세계를 호령
할것이다.
중국인 댓글부대 물러나라.